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광역자치단체별로 1∼3곳 지역구에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자 당이 발칵 뒤집혔다. 여당 텃밭인 대구나 부산 지역도 예외가 없고, 최소 17곳 많게는 50여곳이 전략공천 성격을 지닌 우선추천지역이 될 수 있다는 뜻이어서 비박(비박근혜)계가 강하게 반발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합의된 사항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고, 김무성 대표도 “당헌·당규에 어긋난다. 공천룰 취지와 맞지 않다”며 대로(大怒)했다.
이 위원장은 16일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기 위한 제도로 우선추천제도를 활용하겠다. (여당 강세지역인) 대구 부산 등도 해당된다”며 우선추천지역 확대 방침을 밝혔다. 그는 “공관위가 공천 심사자료를 토대로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한 뒤 해당 지역에 대한 공모 절차를 다시 밟기로 했다”며 “다른 지역구에 이미 공천을 신청한 예비후보도 공모 신청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단수추천지역 예비후보자 심사결과 부적격 판정이 나오면 해당 지역을 우선추천지역으로 전환키로 했다고 언급했다.
이 위원장은 “(정치적 소수자는) 본선 경쟁력이 다른 분에 비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최종 당선되는 것까지 염두에 둬야지 않겠느냐”며 여당 우세지역 위주의 물갈이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또 경선 방식과 관련, 예비후보들 간 여론조사 방식에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공관위가 지역구 사정을 감안해 ‘일반국민 100%’ 경선을 실시키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공천제도특위에서 정한 당원과 일반국민 ‘3대 7’ 방식은 예비후보들 간 합의가 됐을 경우만 시행되는 셈이다.
이 위원장은 발표 내용을 당 지도부와 상의했느냐는 질문에 “우리(공관위)가 결정하는 사안이고, 결정을 했으니 브리핑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비박계는 즉각 반발했다. 김 대표는 이 위원장 발표 내용을 듣고 “우선추천지역을 정하는 논리가 뭐냐”며 격노했다고 한다. 그는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른 공관위원들에게 물어보니 합의 본 바가 없다고 한다”며 “우선추천지역 확대는 우리가 오랜 기간 수차례 걸친 토론을 통해 만든 공천룰에 벗어나는 일”이라고 말했다. 또 “공관위원들은 공천룰 속에서만 활동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공관위 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황 사무총장도 “이 위원장이 기자회견을 하는지도 몰랐다”며 “(이 위원장 발표 내용은) 합의가 안 된 사항이고 본인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발표된 내용은 공관위원이나 지도부에서 깜짝 놀랄 사정이라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도 했다. 황 사무총장은 이 위원장에게 전화해 “독단적으로 결정해선 안 된다”는 취지로 강하게 항의했다고 한다. 이 위원장은 “전날 공관위 회의에서 별다른 이견이 없어 결정된 사항으로 생각했다”는 취지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견을 확인한 만큼 다음 공관위 회의에서 이 문제를 매듭지은 뒤 다시 공식적인 발표를 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우선추천지역’ 놓고 與 이한구 공관위원장-김무성 대표 충돌
입력 2016-02-16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