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에는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모두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급속한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33년에 150만명 가량이 줄어들고 고령인구는 130만명 정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시는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료를 토대로 2033년까지 자치구별 미래인구를 처음으로 추계해 16일 발표했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2013년 10.9%인 서울시 고령인구가 20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에 처음으로 진입하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고령사회는 고령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4% 이상이고, 초고령사회는 20%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특히 향후 20년간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가 현재 ‘항아리’ 형태에서 점차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늘어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전 자치구의 평균 중위연령(총 인구를 나이순으로 세웠을 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2013년 39세에서 2033년 48.6세로 9.6세 높아지고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곳이나 될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기준으로 인구가 가장 많은 상위 3개구는 송파(64만4000명), 노원(55만2000명), 강남(54만5000명)이고 가장 적은 하위 3개구는 중구(12만9000명), 종로(15만5000명), 금천(22만7000명)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25개 자치구중 은평·서초·강동 3개구만 인구가 증가하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할 것으로 서울시는 전망했다.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생산가능인구는 2013년 758만3000명에서 점차 감소해 2033년에는 601만7000명 수준으로 떨어지고, 고령인구는 2013년 108만4000명에서 2033년 239만2000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계됐다. 2020년 기준으로 고령인구 비율 상위 3개구는 강북, 중구, 종로이고 하위 3개구는 강남, 송파, 양천이다.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은 기초연금 등 국가보조사업과 매칭되는 자치구의 재정지출이 늘어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지방정부에는 부담으로 작용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3년 30.9명에서 20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 자료의 구체적인 내용은 ‘서울통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
2033년 서울… ‘부양 인구’만 넘친다
입력 2016-02-16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