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에서 일해 온 북한 근로자가 받은 월급이 6000원에 불과해 생계를 위협받는 실정이었다는 증언이 나왔다.
북한 경공업성 책임지도원 출신 탈북자 김태산(64)씨는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개성공단 관련 세미나에서 “남측 기업들이 북한의 (개성공단) 생산직 노동자에게 80달러를 지급했지만 북한 정부는 달러를 모두 회수하고 노동자 1인당 북한 돈으로 6000원을 줬다”고 밝혔다. 북한 근로자의 월급은 150달러지만 북한 정부가 절반 정도를 사회보장 등 명목으로 착취했다. 그리고 나머지 금액 역시 모두 가로챈 뒤 북한 돈 6000원만 지급해 왔다는 의미다.
그는 북한 장마당(시장)에서 파는 쌀이 ㎏당 5000원에 달해 월급으로는 가족이 먹을 쌀을 사는 게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씨는 “개성공단 월급으로는 가족은커녕 혼자 살기도 턱없이 부족한 정도”라며 “개성공단은 북한 주민을 ‘살려주는 곳’이 아닌 5만4000여명 노동자들의 노예노동 현장”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개성공단 월급은 간식으로 나왔던 초코파이 가격만도 못하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 노동자에게는 1인당 하루 2∼4개의 초코파이가 지급됐다. 연장·야간 근무를 할 경우 보충 지급되는 걸 합하면 한 달에 100여개가 나왔다”며 “북한 장마당에 초코파이를 내다 팔면 개당 300∼500원을 받을 수 있어 월급의 몇 배에 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마저 북한 당국이 초코파이 대신 북한이 생산한 경단설기로 대체해 끊겼었다고 전했다. 경단설기 등은 입주기업이 북측으로부터 구입해 노동자들에게 지급했다. 정부는 이런 간식 구입비 등도 북한 통치자금으로 흘러들어갔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그는 “북한기업 노동자들이 개성공단의 노동자보다 임금 수준이 더 높다고 한다. 개성공단 폐쇄로 북한 노동자들이 노예노동에서 해방되고 북한 독재자의 대량살상무기 생산 자금줄이 끊어진 데 대해 원칙적으로 환영한다”고도 했다.
개성공단뿐 아니라 북한에 설립됐던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및 재중 합영 합작 회사들 역시 사업 시작 10여년 만인 1990년대 북한 정부의 일방적인 압력에 폐쇄됐다고 전했다. 당시 각종 설비와 원자재, 투자금 등도 모두 ‘몰수’된 채 쫓겨났다는 설명이다.
그는 “개성공단 자금이 연 1억5000만 달러임을 감안할 때 북한이 다른 중요 부분으로 할당된 달러를 충당하지 않는 한 핵과 미사일 개발 연구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씨는 북한의 인민경제대학을 마치고 경공업성에서 근무했다. 북한과 체코가 합작한 ‘조선체코신발기술합작회사’의 북측 사장을 지내다 2002년 가족과 함께 망명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개성공단 근로자 월급 6000원 불과… 공단 폐쇄로 노예노동서 해방된 것”
입력 2016-02-16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