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에 이어 ‘정치혁신’을 부르짖던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가 15일 최고위원회의에선 ‘정치혁명’을 역설했다. 그는 “우리가 국민의당을 창당한 것은 오로지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냐”며 “거대 양당의 담합 구조를 깨기 위해서는 혁신이 아니라 혁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말의 성찬이다. 온 국민의 주목을 받으며 신당을 만들었으나 당 지지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데 대한 초조감의 표현이라고 본다.
실제로 국민의당 지지도는 지속적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한때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을 크게 잠식했으나 점차 힘을 잃어가는 모습이다. 호남에선 여전히 더민주와 호각지세를 보이지만 총선의 승패가 걸린 수도권에선 새누리당의 4분의 1, 더민주의 2분의 1 수준이다. 충청권과 영남권에선 정의당과 별 차이가 없을 정도로 저조하다. 호남 이외 지역으로 외연을 전혀 확장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현재 판세라면 ‘자그마한 호남당’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제3당’의 출현으로 양당 구조 폐해를 청산하길 바라는 중도 성향 국민의 기대가 물거품이 될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전체 야권의 참패를 부를 가능성이다. 호남은 어차피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반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여타 지역, 특히 수도권에선 두 야당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과정에서 새누리당에 어부지리를 안겨줄 가능성이 작지 않다. 새누리당이 5분의 3인 180석, 3분의 2인 200석을 넘길 수도 있다는 관측이 빈말이 아니다. 이는 야권 입장에서 집권당의 독주를 눈 뜨고 바라봐야 하는 최악의 상황이다. 정치혁명과 정반대되는 결과다.
국민의당이 당초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당과 전혀 다른 패러다임의 공천을 해야 한다. 지역정서에 매달리는 구정치인은 필사즉생(必死則生)의 각오로 공천에서 과감하게 배제할 필요가 있다. 호남에서의 공천혁신이 수도권 선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새정치와 정치혁명을 구체화하는 총선 공약을 내놓는 것도 중요하다. 더민주와의 차별화가 그것이다. 지금까지처럼 당면 국가정책에 대해 ‘왔다갔다 행보’를 계속할 경우 총선 승리가 물 건너갈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사설] 국민의당 외연확대 못하면 야권 전체 참패할 수도
입력 2016-02-15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