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과 장애인들에게 제대로 된 일자리를 제공하는 ‘마을공동체’ 시범사업이 전국 처음으로 부산에서 추진된다.
부산시는 노숙인과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 및 자활을 위한 ‘마을공동체 정원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행정자치부의 공모사업에 선정된 ‘마을공동체 정원사업’은 미활용 국·공유지로 강서구 신호동 옛 신호고교 예정부지인 신호지구 1만3954㎡와 강동동 옛 시설원예시험장인 강동지구 1만3194㎡에 일자리 창출형 텃밭과 비닐하우스, 정원(약초원·허브가든), 원두막 등을 갖춘 공동체정원 2곳을 조성하는 것이다.
신호지구는 ‘밥퍼 나눔 공동체’가 운영하는 노숙인 중심의 희망나눔텃밭을 조성해 생산되는 식자재를 무료급식에 사용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식자재비를 노숙인의 인건비로 지급하는 선순환방식의 일자리 공동체로 만들어갈 계획이다. 참여예정 노숙인은 50여명이다.
또 강동지구는 ㈔부산장애인부모회가 운영하는 장애인 중심의 희망텃밭을 조성해 장애인 50여명의 일자리 창출 및 자활의지를 고취시킬 예정이다. 또 부산홈가드닝연구회 등이 참여하는 수경재배 체험장, 풀뿌리 공동체가 참여하는 꽃차 재배단지를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이들 사업지역에는 지역 아파트 주민들의 동참을 위해 시민참여텃밭도 일정 부분 조성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국비와 시비 각각 1억5000만원씩 총 3억원이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전문가와 참여단체 대표 등이 참여하는 14명의 국민디자인단을 구성, 세 차례의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시민의 직접 참여로 텃밭을 가꾸는 서비스디자인 기법을 도입해 왔다. 부산대, 동아대 등이 참여하는 나눔실천 프로그램도 기획하고 있다. 국민디자인단은 재능기부로 동참한다.
시 관계자는 “도시농업과 사회복지, 정원조성, 꽃차 등의 새로운 산업개발이 결합된 공동체정원 사업을 통해 소외된 노숙인, 장애인 등에게 함께 가꾸고 함께 나누며 희망을 주는 전국 첫 모델로 만들어갈 계획”이라며 “기반공사가 끝나는 5월초 개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노숙인·장애인 마을공동체 사업 시동… 부산시, 전국 첫 일자리 창출 지원
입력 2016-02-15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