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과 ‘명분’을 놓고 시작된 국민의당의 고민이 계속되고 있다. 소속 현역 의원 수에 비례해 15일과 다음 달 28일, 두 차례 지급되는 국고보조금 때문이다. 교섭단체(20석)를 구성할 경우 보조금 액수는 비약적으로 뛴다. 하지만 이를 위해 ‘묻지마’식 현역 의원 영입이 계속될 경우 안철수 공동대표의 ‘새정치’ 브랜드에 흠결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보조금 논란이 일자 안 공동대표는 14일 기자들과 만나 “(보조금 문제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총선 이후 어떤 모습의 생산적인 국회가 될지 (총선 전에) 미리 보여드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현역 의원 영입에 열을 올린 이유는 돈 때문이라기보다 국회 법안 통과 과정에 개입해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서였다는 해명이다. 그는 트위터에 글을 올려 “보조금 규모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했다. 돈보다 명분을 택하겠다고 선언한 셈이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돈 문제를 제쳐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에 비해 열악한 인력과 조직을 확충하려면 풍족한 재정은 필수적이다. 국민의당(현재 17석)이 교섭단체라면 15일 지급되는 1분기 경상보조금을 12억원가량 더 받을 수 있다.
특히 올해는 총선이 있는 해라 다음 달 28일 400억원 가까운 선거보조금이 추가로 풀린다. 교섭단체라면 이때 72억원이 넘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의석수라면 손에 쥐는 건 고작 26억7000만원 정도다. 현역 3명의 추가 합류 여부에 따라 보조금 규모가 46억원 정도 차이 나게 되는 셈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국민의당은 다음 달 28일 보조금을 위해 현역 의원 확보 방안을 고민할 것”이라며 “공천 탈락한 더민주 현역 의원들을 받느냐 마느냐가 관전 포인트”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민의당, 명분이냐? 돈이냐?… 의원 20명 교섭단체 구성 못해 내달 국고보조금 46억 못받아
입력 2016-02-14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