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정부 힘만으론 안돼”… 재계에 ‘SOS’

입력 2016-02-14 22:08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 맨 앞)이 14일 오후 서울 태평로 뉴국제호텔에서 열린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을 위한 민관합동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정부가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에 따른 입주기업 피해 지원에 재계가 동참해줄 것을 요청했다. 입주기업 피해를 단시간에 해소할 수 없는 상황인 만큼 재계가 ‘상부상조’ 정신을 살려 피해 기업을 도와달라는 것이다. 공장 대체 단지 마련도 조속히 추진키로 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4일 서울 중구 뉴국제호텔에서 경제6단체장과 긴급 간담회를 갖고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12일 경제관계부처회의에서 정부 차원의 긴급 지원책을 마련한 데 이어 기업들의 협조를 구하겠다는 취지였다.

유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경영애로를 해소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경제계 전체가 한마음으로 동참해 달라. 상부상조의 정신을 살려 달라”고 당부했다.

정부가 현장대책반 등을 꾸리고 기존 대출·보증에 대한 상환 유예, 만기연장,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에 나서기로 했지만 당장 손발이 묶인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피해를 회복시키기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과 거래 관계가 있는 기업들이 납품기한, 대금지급 기한 등을 연장할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밝혔다. 당장 생산·납품 길이 막힌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생산을 정상화할 방안을 찾을 때까지 거래를 끊지 말고 기다려달라는 것이 요지다.

유 부총리는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대체 생산지 마련 등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하는 데 걸리는 시간 동안 거래 업체들이 가급적 거래 관계를 유지해 달라”면서 “정부의 대책이 효과를 거두려면 기업인 여러분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 회원사들 간의 조율을 당부드린다”고 거듭 요청했다.

경제 단체들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에 대한 클레임(제품에 대한 문제제기) 청구를 최소화하고 결제 대금을 조기에 현금으로 지급토록 회원사들에 요청하겠다고 화답했다.

간담회가 끝난 뒤 유 부총리는 기자들의 질문에 “개성공단 관련 기업들의 실태 파악을 해봤더니 사업 관계가 끊어지는 게 가장 큰 문제였기 때문에 경제단체들과 간담회를 연 것”이라면서 “당장 5만4000명의 근로자가 없어진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확보할지도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공장) 대체단지도 빨리 마련해보자는 얘기가 나왔고 경제 단체들이 전폭 협조키로 했다”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는 앞서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 배경과 관련, “북한 당국이 오로지 핵과 미사일, 무력 도발에 기댄 채 체제 유지에만 골몰하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방법으로는 핵개발을 포기시킬 수 없고 북한의 변화도 없다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로서는 전면중단 조처를 할 수밖에 없었음을 이해해 달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유 부총리는 북한 리스크에 따른 경제 영향과 관련, “최근 주요국 증시 하락,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있지만 이는 주로 글로벌 요인에 기인한다”면서 “북한 리스크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박병원 한국경영자총협회장, 김인호 한국무역협회장,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강호갑 중견기업협회 회장 등이 모두 참석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