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사드 배치·K2 이전… “대구 운명 올해 달렸다” 촉각

입력 2016-02-14 19:42
대구의 운명을 결정할 굵직한 현안들이 올해 잇따라 결론이 날 예정이다. 대구시는 대구 미래 모습을 바꿀 영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K2 이전 여부, 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문제에 대한 정부 결정을 긴장 속에서 기다리고 있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오는 6월쯤 영남권 신공항 입지가 결정될 예정이다. 정부는 결정에 앞서 지난 12일 대구, 부산, 경북, 경남, 울산 등 5개 시·도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아직 어느 지역이 유력한지 드러나지 않은 가운데 밀양을 주장하는 대구 등 4개 시·도와 가덕도를 주장하는 부산의 입장차는 여전했다.

지역 전문가들은 신공항 입지가 대구의 경제, 생활권 등 모든 부분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밀양에 조성될 경우 당초 계획대로 지리적 이점을 살려 발전 계획을 추진하면 된다. 하지만 가덕도가 될 경우 허브공항인 신공항까지 거리가 너무 멀어 관광, 교통, 경제 등 모든 부분에 타격을 받는다. 여기에 대구공항까지 폐쇄될 경우 대구의 하늘길은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된다.

소음 피해 해결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추진 중인 K2 공군기지 이전 사업 성사 여부도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K2 공군기지 이전 건의서 수정안을 국방부에 제출했고 국방부는 사업 타당성을 검토 중이다. 이르면 오는 3월쯤 타당성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주민들은 K2 이전이 혹시라도 무산된다면 지역 경제 활성화도 물거품이 된다고 보고 있다.

사드 배치·입지 문제도 새로운 현안으로 떠올랐다.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는 방안에 대한 한·미 간 논의가 시작될 예정인 가운데 지난해부터 유력 배치 후보지로 대구와 경북 칠곡군이 거론되고 있어 대구시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논의가 시작되고 입지 선정까지 조속히 진행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지역에서는 정부가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세 가지 현안 모두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대구공항 폐쇄 여부가 K2 이전 여부, 신공항 입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고 K2 이전도 갑자기 등장한 사드 문제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대구시가 정확한 예측은 물론 다양한 변수와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한 대응책을 마련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각 현안들에 맞는 전략을 세워 드러나지 않게 장기간 사업을 추진했다”며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