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수장이 북한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처음 열린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는 중국의 안보와 이익에 해가 된다”고 밝혔다.
중국이 우리 정부와의 대화테이블 면전에서 사드 반대 입장을 정면으로 거론하자 외교가에선 “일방적인 친북 편향이자 자국 이기주의가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의 전략적 연쇄 도발에는 원칙론만 거론하면서 우리 정부가 북한 도발을 막기 위해 마련한 방어체계만큼은 집요할 정도로 트집을 잡는다는 것이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11일(현지시간) 독일 뮌헨에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만나 가진 40분간의 회담에서 “이런 행동(사드 배치)은 각국이 당면 정세에 적절히 대응하고 지역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중교 외교부가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왕 부장이 강한 톤으로 사드 배치 입장을 표명했음에도 우리 외교부는 이 발언의 수위를 낮춰 “중국이 안보 관련 조치를 취하면서 주변국 이해와 우려를 감안해 신중히 대처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고만 전했다. 왕 부장이 사드를 명시적으로 언급한 대목도 아예 공개하지 않았다. 특히 윤 장관이 “사드 배치와 관련해 중국 측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한 것도 관련 보도자료에서 빼버렸다. 일각에서 “외교 당국이 중국과의 갈등 상황 무마에만 신경 쓴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왕 부장은 대북제재 문제를 놓고서도 우리 측과 전혀 다른 스탠스를 보였다. 윤 장관이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 움직임을 언급하며 “(북한이) 5차, 6차 핵실험을 도발하지 못하게 ‘끝장 결의’가 되도록 강력한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하자, 왕 부장은 “제재 자체가 목적이 돼선 안 된다”고 했다.
윤 장관이 개성공단 전면중단 조치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며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 있는 역할을 해 달라”고 요청하는데도, 그는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이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코자 양국이 전략적 동반자로서 협력을 강화하자”고만 답했다. 북핵 문제만 나오면 꺼내온 중국 특유의 ‘북핵 3원칙’만 다시 천명한 것이자 중국 정부 차원의 대북 독자제재에는 여전히 부정적이라는 함의를 담고 있다는 해석이다.
다만 왕 부장은 “새 유엔 안보리 결의 협의를 가속화하는 데 공감하며 이와 관련해 한·중 간 긴밀한 소통과 협의를 해 나가자”고는 했다.
조성은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jse130801@kmib.co.kr
[한·중 외교장관회담] 왕이 “사드, 中 안보·이익 훼손”… 반대 정면 거론
입력 2016-02-12 21:46 수정 2016-02-12 2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