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개성공단 구하기’

입력 2016-02-12 21:44
야권이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단을 만나는 등 일제히 ‘개성공단 구하기’에 나섰다. 더불어민주당은 무작정 정부의 대북정책을 비판하기보다 ‘개성공단 재가동’을 강조했다. ‘종북 프레임’을 피하기 위한 의도다. 반면 국민의당은 박근혜 대통령의 외교안보정책 전반을 집중 공격하며 선명성을 드러내 온도차를 보였다.

더민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는 12일 국회 비대위 대표실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선거대책위원 연석회의에서 “개성공단이 다시 생산활동에 들어갈 수 있도록 북한도 전향적 자세를 취하길 기대하고 우리도 그런 점에서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피해를 보고 있는 분들이 개성공단에서 그동안 경제활동을 해 오신 중소기업”이라며 “경제적 보상을 어떻게 할지를 정부가 적극적으로 검토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대신 개성공단 재가동과 입주기업의 피해보상을 강조한 것이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개성공단의 폐쇄에 대해서 무조건 반대하거나 무조건 문제 삼는 게 아니다”며 “전면 폐쇄를 단행하면서 그게 분명히 심각한 국가안보의 위기가 있었다면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개성공단 가동 중지를 선언한 정부를 섣불리 비판했다가 자칫 여권의 ‘종북 프레임’에 빠질 것을 우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반면 국민의당 지도부는 개성공단 폐쇄 사태의 책임을 박 대통령에게 물으며 정면으로 비판했다.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마포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내걸고 ‘통일 대박’을 외쳤지만 대북정책은 완전히 실패했다”며 “북한에 대해서도 일본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의 정책은 너무 즉흥적 감정적”이라고 했다.

천정배 공동대표도 이번 사태를 거론하며 정부 압박에 나섰다. 그는 “개성공단 폐쇄는 법적 근거가 있는지조차 의문스럽다”며 “입주기업의 재산권을 불법 침해한 것도 과연 정부가 할 일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중도 정당을 표방한 국민의당이 ‘이승만 국부(國父)’ 논란 등으로 ‘새누리당 2중대’란 비판에 직면하자, 선명한 야당색을 드러내 존재감을 보이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의당도 국회에서 긴급좌담회를 열어 야권의 ‘개성공단 구하기’에 힘을 보탰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KBS1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서울시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물건을 판매해주는 방법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는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고 이런 도발이나 무력행위는 규탄받아 마땅하다”면서도 “개성공단 전면 중단 처방에는 좀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고승혁 김재중 기자 marquez@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