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북한이 11일 오후 늦게 개성공단 폐쇄를 발표하자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촉각을 곤두세웠다.
북한 조치에 대해 공식 대응을 하지 않았지만 예상했던 수순이라는 반응도 보였다. 다만 “우리 측 인원이 안전하게 귀환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혀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 확보가 최우선 사안임을 강조했다.
정부는 개성공단 우리 측 인원 전원이 무사히 돌아온 것을 확인한 뒤 개성공단에 대한 송·배전을 차단했다. 단전 조치에 따라 북한의 물을 끌어다 쓰는 방식의 개성공단 용수 공급도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철수 절차를 밟는 개성공단 잔류 인원의 신변 안전을 감안해 정부는 단전 조치를 미리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통일부, 입주기업 피해 지원을 위한 정부 합동대책반 등과 긴밀히 연락을 취하면서 관련 상황을 수시로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북한의 기습적인 공단 폐쇄, 남측 인원 추방 등을 발표하자 대책 마련에도 부심했다. 북측과의 협의를 통해 개성공단 내 인원과 물자를 단계적으로 철수시킬 계획이었으나 예상보다 빨리 이뤄진데 대해 당혹해하는 분위기도 감지됐다. 따라서 공단 내 공장 설비는 물론 원자재, 완제품도 대부분 공단에 놓고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는 앞서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성공단 입주기업 지원 정부합동대책반회의를 열고 기존 대출 상환 유예,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등의 조치 등을 통해 시급한 사안을 우선적으로 해결하기로 했다.
합동대책반 산하에 현장기업지원반을 구성해 금융·세제, 산업, 고용 등 분야에서 입주기업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하기로 한 것이다.
특히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해서는 대체부지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대체부지로는 기존 산업단지의 미분양 용지를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부는 또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 고용지원센터, 국책 금융기관 등이 참여하는 기업전담지원팀을 구성해 기업별로 일대일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정부, 공단 직원들 무사귀환 확인후 단전·단수 단행
입력 2016-02-11 21:48 수정 2016-02-12 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