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트·생활체육 합치기 막판 파행… 대한체육회, 통합체육회 총회 보이콧

입력 2016-02-11 21:12
대한체육회가 15일로 예정된 통합체육회 발기인 총회에 불참키로 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통합체육회 정관을 검토한 뒤 문제가 있으면 현지 조사를 하겠다는 입장을 대한체육회에 통보해왔다.

대한체육회는 1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파크텔에서 제12차 통합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국민생활체육회와 통합체육회 창립 발기인 총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의했다. 이기흥 통합추진위원장은 “통합체육회 정관이 완성돼야 발기인 총회를 할 수 있는데도 현재까지 정관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불참 배경을 밝혔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부는 대한체육회의 불참과 관계없이 총회를 예정대로 실시할 방침이어서 통합체육회는 출발부터 파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는 발기인인 통합준비위원회 위원 11명 가운데 대한체육회 측 위원 3명이 빠지더라도 법적 효력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대한체육회가 총회 불참을 결의한 가장 큰 이유로 정관 작성과정에서 체육회 의견이 묵살됐으며, 정관의 일부 내용이 IOC 헌장을 위배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통합준비위원회에 파견된 대한체육회 측 이동현 위원은 “정관 작성 시 대한체육회 의견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고, 전체 리뷰도 한번도 거치지 않았다”고 했다. 대한체육회는 15차까지 진행된 통합준비위에 7차까지 불참했고 8차부터 참가해 의견을 제시했다.

대한체육회는 경기단체 등급 분류 기준이 현실과 동떨어져 올림픽 종목인 24개 단체가 정가맹단체에서 제외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기흥 위원장은 “IOC 헌장에 위배되는 일부 독소조항은 IOC와 사전 협의한 뒤 완성본을 만들어 발기인 총회를 해도 되는데 왜 정부가 강행하는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IOC는 2013년 9월부터 각국 올림픽위원회(NOC)의 정관 작성 시 사전에 IOC와 협의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IOC는 전날 “한국의 체육회통합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정관을 보내주면 내용 검토 후 필요하면 현지 조사도 실시하겠다”는 공문을 대한체육회에 이메일로 보내왔다. 대한체육회는 정부 및 통합준비위와 협의 후 정관을 IOC에 전달키로 했다.

하지만 정부는 “IOC 공문은 최근 일부 외국 매체에 보도된 내용에 대한 질의 정도의 성격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문체부 고위 관계자는 “지금까지 다 합의해놓고 상황이 이렇게 돼서 안타깝다”며 “주말까지 대한체육회와 조율 작업을 하겠지만 통합 작업은 절차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완석 체육전문기자 wssu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