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개성공단 전면 중단을 선언하면서 공단 내 우리 측 인력과 물자의 철수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대로 영구폐쇄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면서 입주기업 관계자들은 완제품과 원·부자재는 물론 각종 설비까지 가능한 한 많이 차량에 실은 채 ‘남부여대(男負女戴)’식 철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북한이 이를 저지할 개연성도 배제할 수가 없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부는 개성공단에 남은 우리 국민의 안전한 귀환을 최우선으로 두고 제반 조치를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며 “개성 현지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이 귀환하는 과정에서 어떤 안전상의 우려도 제기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이를 위해 상황대책본부를 개설, 공단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철수 과정을 관리하기로 했다.
10일 현재 개성공단에 머무는 우리 측 인력은 총 184명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초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생산활동 직결 인원만 개성공단에 체류할 수 있게 했다. 이로 인해 개성공단에 체류하는 남측 인원이 기존보다 크게 줄었고, 설 연휴가 오자 200명 선 이하로 더욱 줄어든 것이다. 정부가 설 연휴 마지막 날 전면 중단 조치를 전격 발표한 것도 우리 국민이 가장 적은 날을 택한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는 11일부터 회사별로 1명만 남아 철수 준비를 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이날 개성공단 출경 신청을 한 인원 1084명 중 대부분은 방북이 금지됐으며, 공단 내에 남측 인원이 전혀 없는 53개 기업에 한해 1명씩만 출경을 허용했다. 공단 내 식당 운영과 임금 지급 등을 위한 필수인력은 당분간 개성에 체류한다.
전원 철수 시점이 언제일지는 북측과의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어서 아직 불투명하다. 기업들은 공단 가동 중단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공단 내 설비와 자재, 완제품을 최대한 회수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 역시도 북측과의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입주기업의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완제품·원자재·설비까지 챙겨 차량 동원한 개성공단 ‘철수 작전’ 나선다
입력 2016-02-10 2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