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식품정책에 대한 시민의 불신감이 점점 커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할랄식품 괴담’의 근원지를 한국교회로 생각했는지 ‘할랄식품정책 관련 오해에 대한 설명’이라는 자료까지 만들어 한국교회연합, 한국장로교총연합회 등을 찾아가 적극 해명하고 있다. 실무 선에서 안 되니 급기야 차관까지 나섰다.
그런다고 시민의 불안감이 누그러지는 것은 아니다. 농식품부의 안일한 생각이 아직도 변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의 공식 입장은 간단하다. “기본적으로 수요도 없고 정부도, 지역주민의 공감대도 형성돼 있지 않다. 익산도, 전북도도, 정부도 (할랄식품단지 조성) 생각이 없다.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수요도, 공감대도 없는 사업을 농식품부가 추진하려 했던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자료를 보면 농식품부의 자기반성은 하나 없고 ‘괴담’이 잘못됐다는 말만 장황하다. 소문이나 괴담은 신뢰가 무너질 때 더 확산되기 마련이다.
할랄식품단지 실무자는 이런 말까지 한다. “만약 지역민이 찬성하고 농식품 수출확대에 필요하다면 신중한 방향으로 (단지 조성을) 검토할 것이다.” 여론에 밀려 후퇴하지만 접지 않겠다는 말로 들린다.
‘조성 생각이 없지만 검토한다’는 식의 개두환면(改頭換面) 화법인 것이다. 표면만 고치고 속마음은 전과 다름없다고 인식 할 수밖에 없다.
본보는 지난 4일 ‘무슬림 가족 30만명이 거주할 익산단지’라는 한국이슬람중앙회의 공식자료를 공개했다. 이건 ‘괴담’이 아니라 한국이슬람중앙회의 ‘공식 입장’이었다. 이 소식을 접한 시민은 인터넷 댓들 등을 통해 ‘괴담이 아니라 미래에 나타날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런데도 농식품부는 ‘100% 사실무근이다’ ‘할랄방식 도축 관련 필요한 무슬림 인력은 3명 내외’라고 항변한다. 한국이슬람중앙회는 한국 정부보다 10만배 이상의 무슬림들이 익산에 들어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는데도 말이다.
어설픈 괴담을 만들어 내는 곳은 어디일까. 개신교일까. 이슬람교일까. 아니면 수요도, 합의도 없는 정책을 만들어놓고 ‘철회 한 듯 철회하지 않은 듯’하는 정부일까. 정부의 어정쩡한 행보가 왠지 찝찝하다.
백상현 종교부 기자
[현장기자-백상현] ‘개두환면’ 농식품부
입력 2016-02-10 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