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대구생활을 마감하고 12일부터 안동·예천으로 옮겨가는 대구시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이전터에 대구시청 별관부서들이 들어온다.
대구시는 도청 내 시설을 장기간 방치하면 주변 공동화 등 각종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임시활용 방안을 마련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청 본관은 동화빌딩, 호수빌딩 등 4군데로 흩어져 있는 시청 별관부서를 옮겨 통합별관 청사로 쓸 계획이다. 오는 3∼5월 시설 안전진단이 끝나면 6월부터 대구시 건설교통국·문화체육관광국 등 직원 600∼700명이 이곳에서 근무할 예정이다.
경북도교육청 이전지에는 사물인터넷(loT)산업·3D프린터·스마트드론 지원센터 등을 순차적으로 입주시킬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달 14일 경북도·경북도교육청과 시설물 무상사용 계약을 체결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도청 이전 터 개발은 땅 매입에만 4∼5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 등 사업 완료까지 장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며 “사업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내실 있는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를 설득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도청(의회 포함), 교육청, 경찰청, 선거관리위원회, 한국보이스카우트경북연맹 등 5개 기관이 들어선 도청 터 전체 면적은 14만2000㎡다.
경북도와 도의회, 도교육청이 신 청사로 먼저 가고 경찰청, 선관위 2개 기관은 2017년까지 이전을 끝낸다. 한국보이스카우트경북연맹은 아직 이전 계획이 없다.
대구시는 이곳을 문화·경제·행정 등이 어우러진 새 랜드마크로 개발하기로 했다.
도청이전특별법에 따라 정부가 2000억원 정도를 들여 터 전체를 매입한 뒤 시와 협의를 거쳐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
당초 시는 이곳을 창조경제와 ICT 인재양성 중심지(연암드림앨리)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밝혔지만 사업 성격이 도청 부근 제일모직 터에 짓고 있는 삼성창조경제단지와 많이 겹친다는 지적 등에 따라 수정이 불가피하기 됐다.
현재 도청 이전 터 활용방안을 두고 창조경제단지와 연계한 ‘연구개발 공간’, 대구 산하기관 전체가 입주하는 ‘행정타운’, 법원·검찰청 등을 유치하는 ‘법조 타운’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시는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도청이전 터 개발을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며 올 연말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시는 용역결과에 시민여론 수렴 등 절차를 밟아 사업 방향을 정부와 협의해 결정할 방침이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경북도청 옛 청사, 시청 별관부서 옮겨 공동화 막는다
입력 2016-02-10 1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