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에 들어 본 민심-충청·강원·제주] ‘충청 대망론’ 반기문에 기대감

입력 2016-02-10 21:08 수정 2016-02-10 21:10
민심은 냉랭했다. 정치가 민생고(民生苦)를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도 높지 않았다. ‘최악’이라고 평가받는 19대 국회의원들을 갈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컸다. 그렇다고 현역을 대체할 대안도 마땅치 않다는 토로도 있었다.

총선을 60여일 앞둔 설 연휴 기간 국민일보 기자들이 들어본 밥상머리 민심은 갈수록 먹고살기 힘들어진다는, 정치권 질타 목소리가 주류였다. 야권 신당 출현 등 급변하는 정치 지형에 대한 평가는 기대보다는 ‘자기이익에 따라 이합집산(離合集散)하고 있다’는 혹평이 대부분이었다. 야당 지지자들조차 야권 분열로 총선에서 여당이 압승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다만 경기불황과 맞물려 진박(진실한 친박) 마케팅을 질타하는 여론이 영남을 넘어 수도권까지 이어지고 있어 ‘정권심판론’이 총선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도 감지됐다.

충청권은 ‘반기문 대망론’의 중심지다. 충북 음성 출신인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미쳐온 중원 장악력을 갖췄다고 평가되기 때문이다. 충청권 민심은 반 총장의 향후 행보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높아지는 분위기였다.

홍모(45)씨는 10일 “김종필(JP) 전 국무총리 이후 충청 대망론의 후발 주자가 없었고 이완구 전 국무총리는 뜨는 듯했지만 낙마하면서 충청 대망론이 식어버렸다”면서 반 총장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김모(41)씨는 “반 총장이 깨끗하고 참신한 이미지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면 차기 유력 후보로 뜰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20대 총선을 앞둔 충청권 민심은 안갯속이었다. 이번 총선은 1996년 15대 총선 이후 처음으로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정당 없이 치러지는 선거다. 더욱이 지지 성향을 쉽게 드러내지 않는 지역 특색까지 겹쳐 어느 쪽으로 민심이 기울지를 예단하기란 쉽지 않다. 민모(34)씨는 “충청도 사람들 중 지금 누구를 찍겠다고 결정한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라고 했다.

대전 중구에 사는 택시기사 홍순민(58)씨는 “이 지역은 새누리당 지지 기반이 강한 편이지마 ‘진박 대 비박’ 싸움에 크게 식상해하는 분위기”라고 했다. 반면 대전 대덕구의 김모(73)씨는 “야당은 신당이든 기존 당이든 뚜렷한 정책 노선을 잘 모르겠다”고 했다.

청주에 사는 김모(60)씨는 “청주에는 4개 지역이 모두 3선 의원들”이라며 “3번이나 시켜줬는데 지역에 해놓은 게 뭐 있냐 하는 실망감이나 피로감도 있다”고 했다.

강원도와 제주도에선 각각 여당과 야당이 싹쓸이한 19대 총선 구도가 지속될지 최대 관심사였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은 강원도에선 새누리당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목소리가 다소 많았다. 정선에 사는 고영식(70)씨는 “야권이야 허구한 날 싸우고 갈라지고 있다”며 “(경선을 통해) 누구로 결정될지를 봐야겠지만 새누리당 후보에 투표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도에선 더불어민주당 소속 현역 의원 3명의 4선 도전을 놓고 민심이 “바꿔야 한다” “밀어줘야 한다”는 의견으로 갈라져 있었다.

김경택 권지혜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