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체육회’ 출발 앞두고 힘겨루기

입력 2016-02-10 21:42 수정 2016-02-11 01:09
김정행 회장

오는 15일로 예정된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간 통합을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 대한체육회의 통합체육회 창립 발기인 총회 불참 사태도 배제할 수 없다.

대한체육회는 11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회관에서 제12차 통합추진위원회를 열고 통합체육회 정관과 절차상의 문제점을 지적한 통합추진위 의견서에 대한 정부 입장을 검토키로 했다.

앞서 대한체육회는 지난 4일 11차 통합추진위에서 “통합체육회 정관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사전 협의해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통합체육회 발기인 총회를 여는 것은 중대한 절차상 하자가 있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대한체육회는 문체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정관에 문체부 승인 보고 사항이 기존 10개에서 22개로 늘어나 지나치게 많으며, ‘규정 제·개정시 문체부 승인이 필요하다’는 내용은 정부의 국가올림픽위원회 간섭을 배제하는 IOC 헌장을 위배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부는 “대한체육회도 그동안 총 63회 정관을 개정했지만 IOC 승인을 받은 것은 두 번에 불과하다”며 예정대로 발기인 총회를 강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1일 오전 통합추진위 회의에서는 총회 불참 쪽으로 결론이 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김정행 대한체육회장이 사퇴 카드를 꺼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최근 심장수술을 받은 김 회장은 그간 정부의 뜻을 존중해왔지만 통합이 임박해오면서 엘리트 체육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강경방침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의 힘겨루기는 최근 국제 스포츠계에서 관심을 가질 정도다. 지난 9일 미국의 올림픽 뉴스 인터넷 매체인 ‘어라운드 더 링스’는 “대한올림픽위원회(KOC)가 정관을 변경하면서 IOC의 ‘정부 개입 금지’ 원칙을 위반할 소지가 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한국 정부가 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을 선임하고 NOC의 예산 집행에 대해서도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정관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우리 정부는 “KOC 위원장은 정부에서 임명하는 것이 아니라 대의원 총회에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선출한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해 말 대한체육회를 거치지 않고 각 경기단체에 직접 공문을 보내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을 앞둔 태릉선수촌 훈련일수를 160일로 줄이겠다고 통보하는 등 대한체육회와 대립 각을 세우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가대표코치모임인 국가대표지도자협의회는 문체부의 탁상행정을 성토하는 플래카드를 태릉선수촌 곳곳에 내걸었다.

서완석 체육전문기자 wssu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