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설 연휴를 전후해 국가정보원 1∼3차장을 전원 교체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북한의 고강도 도발에 맞서 대북·대테러 정보 역량 강화와 함께 국정원 조직 분위기 쇄신 목적이 담겼다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은 9일 국정원 3차장에 최종일 주레바논 대사를 내정했다. 앞서 지난 5일 국정원 1차장에 김진섭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보융합비서관을, 2차장에 최윤수 부산고등검찰청 차장 검사를 각각 내정했다. 국정원 1∼3차장이 한꺼번에 교체된 것은 현 정부 들어 처음이다.
최 신임 3차장은 육사 출신으로, 한미연합사령부 작전참모부 차장, 제1군단장, 국방부 국방정보본부장을 역임한 안보 및 정보 전문가다.
해외 및 대북 정보 파트를 담당하는 국정원 1차장에 발탁된 김 비서관은 국정원 공채 출신으로 북한 정보 분석과 국제 정보협력 등 업무를 30년 가까이 맡은 북한통이다. 청와대 비서관을 국정원 1차장으로 보낸 것은 임기 후반기 박 대통령의 친정 체제 강화와 조직 안정을 동시에 감안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검찰 특수통 출신인 최 2차장은 2011년 한상률 전 국세청장의 금품비리 의혹 사건 등 각종 부패범죄 수사를 지휘했다. 지난해 12월 검사장으로 승진한 지 2개월 만에 국정원 2차장으로 발탁한 점, 주로 검찰 공안통이 앉던 자리에 특수통을 배치한 점 때문에 파격적이라는 평가가 뒤따르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0일 “국정원 조직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겠다는 박 대통령의 의중이 담겨 있다”고 해석했다.
일각에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던 지난 5일 단행된 1·2차장 인사가 북한의 4차 핵실험 징후를 파악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론 차원이 아니냐는 시각과 함께 시기가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하지만 국정원은 지난 7일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1차장은 2번이나 사의를 표시했었다”며 “청와대에서 일하던 분이 1차장으로 왔기 때문에 크게 업무에 지장은 없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국정원 1∼3 차장 전원 교체 배경은 대북·대테러 정보 역량 강화
입력 2016-02-10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