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선 공천은 오로지 국민 눈높이에 초점 맞춰라

입력 2016-02-05 16:38
여야 3당이 4·13 총선 ‘공천관리위원장’을 선임했다. 새누리당 이한구, 더불어민주당 홍창선, 국민의당 전윤철 위원장은 모두 강직한 성품을 가진 70대 원로급 인사다. 세 사람은 이구동성으로 능력과 도덕성을 겸비한 인재를 찾아 공천하겠다고 다짐하고 있지만 뜻대로 될지는 미지수다. 선거 때마다 당 지도부는 공관위원장에게 공천의 전권을 위임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지도부와 실세그룹에 좌우되곤 했다. 공관위가 국민 눈높이에 맞춰 성공적으로 공천하려면 이들의 부당한 압력에서 벗어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 공천에서도 ‘계파 나눠먹기’가 횡행할 가능성이 있다. 새누리당에선 친박과 비박, 더민주에선 친노와 비노 간 갈등이 커 논란 끝에 주고받기식 거래가 이뤄질 수 있다는 얘기다. 국민의당에서도 안철수·천정배 공동대표와 김한길 상임선거대책위원장 등 3인의 지분 챙기기로 갈등이 빚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계파 문제가 개입되면 유권자 뜻과 무관하게 전혀 엉뚱한 사람이 공천되는 경우가 생기는 건 불문가지다. 각 당 공천의 성패는 계파 이해관계에서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느냐에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계파에 얽매여 거수기 노릇하는 사람은 잘라내고 소신 있는 인물을 많이 공천해야 정치개혁을 기대할 수 있다.

총선 공천은 참신한 인재를 두루 등용하는 통로가 돼야 한다. 단순히 선수(選數)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배제해선 안 된다. 어차피 국회는 노·장·청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일정 비율의 현역의원 물갈이는 불가피하다. 기회가 주어졌는데도 의정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거나 부적절한 언행으로 물의를 빚은 의원은 가혹하다는 평을 듣더라도 솎아내는 것이 맞다. 지역에서 이름을 알린 사람을 굳이 무시할 필요는 없겠지만 중앙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은 유능한 인재를 적극 천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