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앞유리에 ‘보행자가 도로에 뛰어들었으니 조심하십시오’라는 문구가 뜨고 경고음이 울린다. 운전자는 속도를 줄이고 방어 운전을 한다. 얼마 뒤 ‘현재 도로가 막히니 A도로로 돌아가십시오’라는 문구가 뜨자 운전자는 차량을 돌렸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차량이 지나가자 자동으로 결제된다. 먼 미래 얘기가 아니다. 2018년부터 국내 일부 고속도로에서 모든 운전자가 이런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2007년부터 시작해온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관련 기술 개발을 지난해 말 마쳤다고 4일 밝혔다. C-ITS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를 통해 여러 정보 등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도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가 보행자, 노면 상태, 통학버스 등 정보를 모아 차량에 전송한다. 기존 ITS는 교통정보센터에서 일방적으로 차량에 정보를 보냈지만, 차세대 ITS는 차량이 교통정보센터나 다른 차량에 정보를 보내기도 한다. 차량이 도로 정보를 수집해 뒤차에 전달하기도 한다는 의미다. 이 기술 덕에 앞 차량의 급정거 정보 등을 뒤 차량이 알 수 있다.
올해 7월부터는 대전∼세종 간 87.8㎞ 구간에서 시범사업이 진행된다. 고속도로와 국도뿐 아니라 도심 도로 58.8㎞도 포함돼 있다. 현재는 국토부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시스템 구축을 마치면 이 도로를 자주 이용하는 운전자 3000명에게 단말기를 무료로 지급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통행 패턴, 운전자 신뢰도 등을 고려해 단말기 지급 대상을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2017년 7월까지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예정이다.
국토부는 시범사업이 끝난 뒤인 2018년에는 일부 고속도로에 시스템을 구축해 기술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어느 고속도로에서 우선 시작할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하이패스 도입 때와 마찬가지로 일부 고속도로에서 시행하고 점차 확대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때가 되면 운전자는 하이패스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C-ITS 단말기를 구입해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C-ITS는 무선 통신을 이용해 안전정보를 주고받는 시스템인 만큼 해킹으로 잘못된 정보가 통신될 우려도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킹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고받는 정보의 암호화 기술을 지난해 12월 개발했다”고 밝혔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앗! 보행자 조심”… 운전자에 경보 울린다
입력 2016-02-04 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