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총회장 박무용 목사) 산하 신학교인 총신대(총장 김영우 목사)의 운영이사회가 같은 날 다른 장소에서 소집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총신대 운영이사회의 소집권한을 둘러싼 예장합동 총회 측(운영이사회 소집권이 총회에 있다는 입장)과 총신 측(소집권이 운영이사장 직무대행에 있다는 입장)의 대립이 더욱 첨예해지고 있다.
총회 측은 1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총회 본부에서, 총신 측은 이날 서울 동작구 사당로 총신대에서 각각 총신대 운영이사회를 열었다. 총회 측 운영이사회에는 총 134명의 이사 가운데 위임의사를 밝힌 19명을 포함해 69명이 참석했다. 반면 총신 측 운영이사회에는 53명만 참석, 정족수 미달로 개회를 하지 못했다.
총회장 명의로 소집된 총회 측 운영이사회에서 박무용 총회장은 “지난해 9월 제100회 총회의 결의에 따라 운영이사회를 열게 된 것”이라며 “총회의 결의에 불복하고 운영이사회를 이중으로 소집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운영이사장 직무대행인 송춘현 목사 명의로 소집된 총신 측 회의에 참석한 운영이사들은 “이사회는 위임제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위임의사를 밝힌 이사를 참석 인원으로 계수한 것은 잘못”이라며 “합법적 회의로 볼 수 없는 총회 측 운영이사회에 대해 법적 절차를 밟겠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9월 제100회 총회가 열리기 전까지 양측은 재단이사 교체와 정관개정 문제를 놓고 대립각을 세웠다. 양측은 한때 ‘총회장과 재단이사장 간 합의서’를 작성하고(국민일보 2015년 7월 1일자 참조), 총회 마지막 날 총신대 재단이사들과 운영이사회 임원들이 “총회 결의 이행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선서도 했다. 총회 이후 ‘합의와 협력’에 대한 기대가 높았지만 양측은 ‘대립과 갈등’을 되풀이했다.
지난해 12월에는 총회 결의인 ‘지방 신학대학원 졸업생의 총신 특별교육기간 단축 및 수업료 인하 건’ 시행을 두고 총회 임원회와 총신대 운영이사회가 ‘즉각 이행’과 ‘이행 연기’ 입장으로 나뉘어 대립했다. 해당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었던 총신대 운영이사회는 정족수 미달로 간담회로만 진행됐다. 양측은 이후에도 등을 돌린 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한 이사는 “손을 맞잡고 신앙적·신학적으로 한 방향을 지향해야 할 총회와 총신대가 정치에 매몰돼 방향성을 상실해가고 있는 현실이 개탄스럽다”며 “한 걸음씩 물러나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접점을 다시 찾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같은 날 다른 장소… 둘로 쪼개진 총신대 운영이사회
입력 2016-02-04 19:19 수정 2016-02-04 2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