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보상대책 발빠른데… 꿈쩍도 않는 他社

입력 2016-02-04 17:31 수정 2016-02-04 21:28
BMW가 지난해 논란이 됐던 차량 화재 사건에 대한 종합대책을 4일 내놓았다. 화재 원인은 ‘규명 불가’라고 밝히면서도 소비자에 대한 보상과 외부 수리업체에 정비기술 공개 등 후속대책을 공식적으로 표명했다. 자동차 업계 내부에서는 ‘원인불명 사고’에 대해 숨기기에 급급한 업계 관행에 비추면 BMW의 조치는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차량 화재, 부품 결함, 녹과 누수 발생 등 각종 제작 결함 논란이 끊이지 않는 다른 완성차업체들도 보상과 대책 마련에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조사대상 화재 사건 차량은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신고된 화재 발생 BMW 차량 10대였다. 이 중 4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이 조사를 진행했고, 5대는 독일 BMW 본사 화재감식팀과 BMW 코리아 기술팀이 합동으로 조사했다. 나머지 1대는 외부 수리업체에서 진행한 불량부품 사용과 차량 개조로 인한 화재가 분명해 조사가 진행되지 않았다.

BMW 코리아 측은 “(조사가 진행된 9건에 대해) 국과수와 독일 본사 화재감식팀 및 BMW 코리아 기술팀이 면밀히 조사했으나 상당수 차량이 완전히 전소돼 명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BMW 코리아는 대신 9건의 차량 중 BMW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정기적인 관리·정비를 받은 고객 5명에게는 보상을 실시하기로 했다. 다만 외부 수리 이력이 있는 고객 5명에게는 BMW가 직접 보상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후속 대책을 내놓았다. 차량 정비를 위한 BMW 자체 기술정보 공개가 핵심이다. BMW 코리아는 올 상반기 중 부품 및 차량 정비를 위한 기술정보를 온라인에 공개하고, 4월부터는 외부 자동차 수리업체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BMW 기술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BMW 관계자는 “그동안 대외비로 관리해 왔던 기술 노하우를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BMW 코리아 김효준 대표는 지난해 11월 화재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한 해 원인 불명의 자동차 화재가 5000건 이상 발생한다”며 “BMW는 10건 때문에 보상과 후속 대책까지 발표했지만, 수천건의 화재가 발생한 다른 자동차 업체들은 왜 가만히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소방방재청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발생한 국내 자동차 화재는 총 3만1770건이며, 이 중 승용차 화재 건수는 2만251대다.

지난해 BMW 화재 사건과 함께 관심을 끌었던 메르세데스-벤츠의 ‘골프채 파손 사건’은 결국 리콜로 마무리됐지만, 벤츠 측은 특별한 후속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폭스바겐 역시 배출가스 조작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했지만, 부실한 리콜 대책으로 국내법인 사장 등이 정부로부터 형사고발을 당한 사태다. 현대·기아차 등 국내 완성차업체들도 각종 제작결함 논란이 끊이지 않지만,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보상과 후속 대책을 마련하는 일은 거의 없다.

남도영 기자 dy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