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대북 양자 제재, 5자회담 등 한·미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북핵 대응 방안에 대해 러시아가 반대 입장을 분명하게 밝혔다.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미·일 대 중·러의 대립 구도가 갈수록 선명해지는 모양새다.
알렉산드르 티모닌 주한 러시아대사는 2일 외교부 출입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한·미 유관기관 사이에서 사드 관련 접촉이 많아진 점을 주목하고 있다”며 “러시아는 사드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한반도 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런 발언은 사드를 포함한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 전반에 강한 불신을 가진 러시아의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티모닌 대사는 “(사드 한반도 배치는) 결정되지 않았으며 논의 중인 것으로 안다”면서도 “분명한 건 (사드 배치) 결정이 향후 러시아의 대외정책 계획에 고려될 것”이라고 했다.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되면 한·러 관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을 시사한 셈이다.
한·미·일이 추진하는 대북 양자제재 강화 방안에 대해선 “러시아는 항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 대한 양자제재에 반대해 왔으며 지금도 반대하고 있다”고 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논의 중인 대북 제재와 관련해선 “북측 지도부는 수소탄 실험을 했다고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것을 확인할 근거가 없다”며 “지금 이 상태에서 제재 성격을 논의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한 5자회담에도 부정적인 뜻을 피력했다. 티모닌 대사는 “러시아는 (5자회담) 구도가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생각한다”며 “북핵 문제 해결 과정에서 북한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효력이 없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는 “5자 구도의 대화는 북한을 더욱 고립에 빠지게 한다. 그래서 러시아가 6자회담을 지지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주한 러 대사 기자간담회] 러, 사드 배치·대북 양자제재·5자회담 “반대”
입력 2016-02-02 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