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이 마지막 고비에 올랐다. 위원장은 친박(친박근혜)계가 밀고 있는 이한구 의원으로 의견이 모아졌지만, 위원 구성의 계파별 안배 문제가 뒤엉켜 있어 상황은 민감하다. 공관위가 경선관리의 실권을 쥐고 있어 주도권을 잡기 위한 계파별 대치 상황도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양상이다.
새누리당 지도부는 1일 최고위원회의 비공개회의 때 공관위 구성 문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최고위원들은 이 의원의 위원장 선임 쪽으로 상당부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청원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의원의 공관위원장 추대 여부에 대해 “그렇게들 생각해 달라”고 답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대부분 결정이 됐다.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 의원으로 좁혀진 건 맞는다”면서도 “(공관위원장과 위원을) 일괄적으로 다 정해야 하기 때문에 최종 결정된 건 아니다”고 했다.
공관위 구성이 막판 진통을 겪는 데는 양 계파 모두 상대측이 공관위를 통해 자기 계파에 유리한 심사기준을 세울 수 있다는 의구심을 품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상향식 공천 원칙이 세워졌지만 우선추천지역이나 단수추천지역 선정 등 공관위가 지닌 권한은 여전히 막강하기 때문이다. 박민식 의원은 오전 라디오에서 “솔직히 아직도 과거식의 공심위원장 역할을 은근히 기대하는 사람들이 있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당헌·당규상 주요 사항에 대한 공관위 의결 정족수는 재적 3분의 2 이상이다. 친박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최고위원들이 추천한 인물로 구성될 경우 공관위가 친박 일색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비박계 내부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가 지난주 이 의원의 위원장 추대를 받는 조건으로 공관위원 선임의 전권을 달라고 요구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그래서 당 일각에서는 공천제도특별위원회 구성 때처럼 계파별 인적 안배가 되는 절충안이 마련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당헌·당규상 전략공천은 불가능하지만 총선 승리를 위한 ‘전략적 결정’은 불가피한 것 아니냐”며 “양 계파 모두를 충족할 절충안은 충분히 마련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계파별 기싸움은 갈수록 거세졌다. 친박 핵심인 최경환 의원과 비박 정점인 김 대표의 최근 행보를 놓고 서로 상대 진영을 향해 ‘세몰이하고 있다’며 난타전을 벌였다. 김용태 의원은 최 의원의 대구 발언을 언급하며 “특정 계파에 대한 지지호소가 다른 지역에는 상당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최 의원은 말씀을 걸러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일표 의원도 “최 의원이 상당히 섭섭했던 것 같은데 새누리당 의원 중에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바라지 않는 사람이 있겠느냐”며 “김 대표나 유승민 전 원내대표도 이렇게 믿고 노력해 왔다”고 했다.
반면 친박 윤상현 의원은 김 대표가 전날 비박계 의원들과 만찬회동을 벌인 것을 두고 “공정하고 투명해야 할 공천 시기에 무엇을 할 것인지 깊이 고민하고 자중해야 한다. 어떤 형태로든 의구심을 사는 처사는 단결을 해치는 패착”이라고 비판했다.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공천관리위’ 구성 진통 거듭… 계파 갈등도 점입가경
입력 2016-02-01 2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