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내 ‘캐스팅보트’를 자임하는 국민의당이 여야를 싸잡아 강력 비판하며 선거법과 여야 합의 법안 처리를 주문했다. 국민의당 주승용 원내대표는 정의화 국회의장과 만나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 본회의 상정 시 적극 협조를 약속하기도 했다.
국민의당은 1일 서울 마포구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기획조정회의를 열고 현재 경색된 정국의 책임을 여야 모두에 지웠다. 주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청와대와 여당은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을 겁박하며 쟁점법안 직권상정을 강요하고 있다”며 “대화와 타협을 하지 않고 국회의장에게 직권상정을 요구하는 것은 다수당의 횡포이자 직무유기”라고 비판했다. 또 여권의 국회선진화법 개정 움직임에 대해서도 “여당의 입맛대로 국회선진화법이 개정돼 직권상정이 남발되면 난장판 국회로 회귀될 수 있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공세도 잊지 않았다. 주 원내대표는 “더민주는 일부 강경파가 주도해 원내대표에게 협상의 여지를 주지 않고 있다. 제1야당의 역할을 내팽개쳤다”고 공격했다.
주 원내대표는 이후 일부 의원과 함께 정 의장을 찾았다. 그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직권상정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면서도 “원샷법은 여야가 이견 없이 상임위를 통과시킨 법이기 때문에 (본회의에) 상정되면 적극 돕겠다,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어 “정 의장이 ‘여야가 합의한 법에 대해 직권상정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했다”고 했다. 주 원내대표는 공직선거법의 설 연휴 전 처리와 국회 내 사무공간 배정 등도 요청했다.
국민의당은 최근 논란이 된 중소기업진흥공단 채용비리 의혹 실태 파악을 위한 국정조사를 제안했다. 최원식 대변인은 논평에서 “양당은 선거를 앞두고 청년 취업난 해소를 외치고 있으나 수많은 미생(未生)들의 좌절에 진정으로 공감해본 일이 있느냐”고 지적했다.
국민의당의 이런 움직임에 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양비론에 기대어 반사이익을 탐하는 것은 새정치가 아니다”며 “국민의당은 박근혜정부 잔여 임기 동안 여당을 할 것인지 야당을 할 것인지 먼저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국민의당 ‘여야 때리기’… “직권상정 압박은 다수당의 횡포”-“강경파 주도 제1야당 역할 팽개쳐”
입력 2016-02-01 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