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자유학기제 성공은 치밀한 프로그램에 달렸다

입력 2016-02-01 17:27
자유학기제의 올해 전국 중학교 확대 실시를 앞두고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학원총연합회 관계자들을 만나 학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 부총리는 지난달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들에게 “자유학기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학원이 학부모 불안감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며 “협조를 부탁한다”고 말했다. 이 제도의 안착을 바라는 이 부총리의 진심은 알겠지만, 학원들의 상술 탓에 자유학기제가 위협받는다는 생각은 본말전도다.

물론 일부 학원가에서 ‘자유학기제는 명문대 진학의 첫 단추 기간’ 등의 자극적 문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교육부가 평소 규제 대상인 학원 경영인들을 불러놓고 규제사항이 아닌 학원 광고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으니 말발이 먹힐 가능성도 없다.

자유학기제의 성패는 직업탐방과 진로 체험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수준에 달려 있다. 일부 극성 학부모와 학원이 물을 흐리더라도 학생들의 낮시간을 책임지고 있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학생들의 체험활동 몰입도를 높인다면 걱정할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 부총리와 교육부 및 유관부처 관계자들은 모두 직업탐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적 인프라 확충을 위해 현장을 뛰어야 한다. 즉 공공기관 기업 사회단체 등을 찾아다니면서 직업탐방과 체험활동을 위한 장소와 인력 협조를 구하고, 프로그램 개발을 도와야 한다. 예컨대 고용노동부는 사용자단체나 지역 노사정협의체를 통해 직종별 장·노년 전문인력은행을 만들어 직업탐방 강사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유관부처 고위 공무원 중 누구도 그런 노력을 기울인다는 소식이 없다.

지금까지 자유학기제에 대한 반응은 좋은 편이지만 문제는 중학교에만 짐을 지우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퇴직교사들에게 체험활동을 맡기는 경우도 많다. 결국 중학교들이 다양한 분야의 준비된 강사와 기관 등을 쉽게 활용하도록 만드는 게 관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