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섭단체’ 목마른 국민의당… 국회정상화 요구로 정면돌파?

입력 2016-02-01 04:03
국민의당 창당을 준비 중인 안철수 의원이 31일 서울 마포구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국회 파행 책임을 묻고 있다. 왼쪽부터 장병완 정책위의장, 안 의원, 주승용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민의당은 원내 교섭단체 구성이 난항을 겪자 연일 ‘제3당 효과’를 내세우며 입지 확보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안철수 의원은 설 연휴 전 양당 대표 및 새로 선출될 국민의당 대표가 참여하는 ‘민생정책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안 의원은 31일 서울 마포구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월 임시국회 회기 내에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과 북한인권법, 선거구 획정 및 쟁점법안을 처리해야 한다”며 양당 대표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안 의원은 특히 오는 2일 새로 선출될 국민의당 대표와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설 연휴 전 민생정책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안했다. 또 누리과정(만 3∼5세 무상보육) 예산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도 구성하자고 했다.

국민의당이 여야 모두를 싸잡아 비판하며 국회 정상화를 요구한 것은 이른바 ‘제3당 효과’를 통해 교섭단체 구성 난항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안 의원은 “여야 원내대표가 국민 앞에 약속한 법안 처리를 뒤집은 것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어 “제3당(국민의당)의 등장으로 다른 선택지가 생겼으니 국민들께서 단호한 결심을 보여 달라”고 호소했다.

중앙당 창당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국민의당은 여전히 교섭단체 구성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민의당은 무소속 박지원 최재천 의원에게 지속적으로 합류를 요청하는 동시에 현역 의원들의 추가 탈당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주승용 원내대표는 오찬 기자간담회에서 “박 의원과 최 의원은 (국민의당으로) 올 것”이라며 “1명만 더 오면 된다”고 했다. 국민의당 측은 늦어도 2월 중 교섭단체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국민의당은 ‘당헌당규 정강정책 비공개회의’를 열고 당 지도체제와 정강정책 등을 논의했다. 국민의당은 부패 혐의로 대법원에서 유죄가 확정될 경우 당원 자격을 박탈하는 안을 정강정책에 반영키로 했다. 또 기소될 경우에는 당원 자격을 정지키로 했다. 중대선거구제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또한 정강정책에 반영됐다. 당 대표를 단수로 할지, 복수로 할지 여부는 추가 논의키로 했다. 공천룰도 ‘큰 틀’에서 논의됐다. 의원들은 오후 10시부터 의원 연찬회를 갖고 창당 관련 현안 등을 논의했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는 선거대책위원장에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가 거론되고 있다. 이 교수는 정식으로 제안받지는 않았지만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민의당과 통합을 선언한 천정배 의원의 국민회의는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국민의당과의 합당을 의결했다.

최승욱 고승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