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다음주 중으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를 우리 측에 공식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곧바로 미국 측과 논의를 시작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주한미군 사드 배치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아직 미국으로부터 협의 요청을 받은 바 없다”면서도 “미국 정부 내에서 주한미군 사드 배치 논의가 이뤄지는 걸로 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 등 기술적 사항에 대해 실무 차원에서 내용을 파악 중”이라며 “주한미군에 사드가 배치된다면 우리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지금까지 ‘전략적 모호성’으로 일관했던 우리 정부의 입장이 사드 배치에 상당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뀌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주목된다.
이를 반영하듯 김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모든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부연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미국 측의 요청이 있으면 곧바로 공개해 투명하게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청와대는 미국과 사드 배치 논의를 진행할 경우 배치 대상 레이더는 후방배치용으로만 제한하기로 내부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탐지거리가 2000㎞나 되는 전진배치용 레이더는 중국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방산업계 소식통은 “한·미, 록히드마틴이 사드 배치 문제를 협의 중이다. 2개 포대를 배치하고 후보지도 정한 것으로 안다”고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한편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 전·현직 고위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한·미가 사드 한반도 배치에 거의 합의했으며 이르면 다음주 사드 도입을 공식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한국이 최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미국 미사일방어(MD) 체계를 도입하는 방향으로 기울었다”며 “양국이 사드 배치를 둘러싼 막바지 협상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한·미의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유관국가(한국)가 관련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길 희망하다”고 밝혔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반도(한반도)의 국면은 매우 복잡하고 민감하다”며 “어떤 국가든 자신의 안전을 도모할 때에는 다른 국가의 안전이익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관련기사 보기]
韓·美, 사드 배치 곧 공식 논의
입력 2016-01-29 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