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의 ‘권력자’ 발언 이후 공식대응을 자제했던 친박(친박근혜)계가 김 대표를 향해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국회법(일명 국회선진화법) ‘개악’의 책임론이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 주류로 쏠리게 되는 상황을 두고 볼 수는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다.
‘친박 맏형’으로 불리는 서청원 최고위원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왜 이런 권력자 발언을 (김 대표가) 해서 분란을 일으키느냐”면서 포문을 열었다. 또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자는 김 대표 아니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서 최고위원은 ‘권력 주변 수준 낮은 사람들’이라며 친박계를 겨냥했던 김 대표를 향해 “지금 김 대표 주변에도 ‘김무성 대권’을 위해 완장을 찬 사람들이 매일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지 않느냐”고도 했다. 이어 “누구한테 책임을 전가하려는 게 무슨 당에 도움이 되느냐”며 “다시는 권력자라는 말로 당에 분란을 일으키지 않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했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과거를 자꾸 현재 기준에 맞춰 자기 편리한 대로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민주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집권여당이 왜 이렇게 정제되지 못하고 투박한가”라고 가세했다.
서 최고위원의 바로 옆자리에 앉은 김 대표는 굳은 표정으로 듣기만 했다. 친박 측 반격에 침묵으로 일관했다. 김 대표 측근은 “김 대표가 표현을 권력자라고 해서 그렇지 분란을 일으킬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확대 해석될 사안이 아니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권력자 발언 파장은 상향식 공천제의 취지를 살리려는 김 대표와 전략공천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주장하는 친박 주류의 힘겨루기로 보는 시각도 있다. 김 대표 측근은 “상향식 공천제의 필요성을 강조하다보니 나오게 된 말”이라고 했다. 반면 수도권 친박 의원은 “상향식 공천 원칙 때문에 인재 영입이 어려워진 것은 사실”이라며 김 대표의 ‘총선전략 부재’를 질타했다.
공천관리위원장 인선이 난항을 거듭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초 이번 주 중 공천관리위원회 인선을 마무리할 예정이었지만 계파 간 갈등이 불거지면서 진통을 겪고 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김 대표가 이한구 의원을 포함해 위원장 후보군에 오른 사람들을 모두 만나보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당 일각에서는 김 대표가 2014년 10월 이른바 ‘상하이 개헌 봇물’ 발언을 한 지 하루 만에 “제 불찰”이라며 박 대통령에게 사과했던 모습과는 완전히 달라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 대표 주변에선 “김 대표가 매번 밀리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마지막 전투’에서까지 밀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도 나왔다.
그러나 계파 갈등이 전면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은 떨어진다. 한 친박 의원은 “지금 당청이 힘을 합해야 하는 시기인데 더 이상 이 문제를 확대시켜선 안 된다”고 했다. 노동개혁 및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처리에 당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대표 측 ‘추가 도발’이 없을 경우 휴전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당내에선 자성론도 제기됐다. 김용태 의원은 한 라디오방송에 나와 “이제 와서 그때 (국회선진화법을) 왜 통과시켰느냐, 누구한테 책임이 있느냐고 묻는 것은 우리 스스로의 얼굴에 먹칠하는 것”이라고 했다. 또 “선진화법의 문제점이 충분히 드러났기 때문에 법을 고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했다.
청와대는 공개 대응을 자제했다. 정연국 대변인은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 질문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겠다”고만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친박 “권력자가 김 대표인데 누구한테 책임묻나” 역공… 침묵 깨고 십자포화
입력 2016-01-28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