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이공계 분야 기초연구 지원을 ‘연구자 맞춤형’으로 개편했다. 기존의 일률적인 지원에서 탈피해 연구자가 필요한 연구비와 연구기간을 신청할 수 있다. 또 노벨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 최장 10년까지 한 분야 연구에 몰입하는 ‘한 우물 파기’ 연구지원도 도입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는 26일 ‘이공 분야 기초연구 지원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지난해 10월 대통령 주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보고된 ‘기초연구발전 방안’의 후속조치다.
두 부처는 개인연구에 9237억원, 연구실 등이 수행하는 집단연구에 1804억원, 기반 구축에 54억원 등 총 1조1095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지난해보다 287억원 늘었다. 미래부는 수월성 중심의 기초연구 역량 강화에 7680억원, 교육부는 풀뿌리기초연구 진흥 및 학문 후속세대 연구역량 제고에 3415억원을 투자한다.
가장 큰 특징은 연구자 수요에 맞게 탄력적으로 지원한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신진·중견연구에서 연간 5000만∼3억원을 3년간 획일적으로 지원했는데, 앞으로는 필요에 따라 연구비 지원액을 총 한도 안에서 연도별로 달리해 받을 수 있다. 지원기간도 1∼5년 중 선택할 수 있다. 연구과제 변경이 필요한 경우 평가를 통해 허용함으로써 연구수행의 유연성도 높이기로 했다.
연구 기간은 기존 3년에서 최장 10년까지로 확대했다. 한 분야 연구에 매진할 수 있게 하고, 우수과제는 후속 연구를 통해 계속 지원할 방침이다. 소규모 공동 연구가 활성화되도록 융합 분야에 한정적으로 시행하던 2인 공동연구를 기초연구 모든 분야로 확대키로 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이공계 ‘한 우물 연구’ 밀어준다… 노벨상 겨냥 최장 10년 연구비 지원
입력 2016-01-26 2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