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와 공동연구… 미세먼지 예보 정확도 ↑

입력 2016-01-26 21:38

정부가 ‘미세먼지’ ‘가뭄’ ‘녹조’ ‘지반침하’ ‘생활악취’를 5대 환경 난제로 규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한다. 신기후체제에 대비한 ‘환경한류’ 조성에도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새해 업무계획을 박근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중국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 150억원 규모였던 한·중 공동 사업을 확대하고 국내 기업이 제철, 석탄화력발전 등 중국 대기 질 관리 시장에 진출토록 지원하기로 했다. 예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대기 질 정보를 공유하는 중국 도시를 현행 35곳에서 74곳으로 늘리고, 미국 항공우주국(나사)과 2020년까지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가뭄 대비를 위해선 세종시 등 4개 도시에서 빗물을 모으거나 하수처리수를 다시 이용하는 수자원 확보 시범 사업을 벌일 계획이다. 노후 하수관을 보수하고 공공·대형건물 물 절약 목표관리제 도입도 확대한다.

하천 녹조의 경우 ‘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해 원인 분석 시설을 두기로 했다. 유역별로 녹조의 원인 물질인 인(P)을 정화하는 ‘총인 처리시설’을 확충한다. 지반침하를 예방하기 위해 2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 7000㎞의 안전진단을 진행하고 지자체 지반침하 정보를 지리정보 시스템(GIS)에 통합해 ‘3D 통합지도’를 만들기로 했다. 정화조 악취 저감시설 의무화 대상을 늘리고 밀폐형 청소차량을 확충해 생활악취를 줄인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한국형 신기후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강원도 홍천 등지의 친환경 에너지타운을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 발전시켜 수출까지 할 수 있도록 올해 5곳을 착공하고 2018년까지 총 10곳을 마련한다. 또 ‘탄소 제로섬’ 모델을 제주도에 시범 적용한 뒤 개도국 보급을 추진한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