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K뷰티… 정부, 화장품산업 육성 팔 걷었다

입력 2016-01-26 21:55
정부가 화장품 산업을 집중육성하기 위해 팔을 걷었다. 화장품의 범위를 넓히고, 특별구역을 지정해 규제를 푸는 한편 중소화장품업체들을 위한 애로사항 상담 창구를 개설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6일 올해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화장품산업 규제프리존을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규제프리존은 현행 제도하에서는 시험이나 실증이 어려운 신기술·시제품을 직접 만들어 시험·실증해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제 예외지역’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14개 시·도별로 특화된 지역전략산업에 민간투자를 끌어들이려는 목적이다. 화장품산업 규제프리존은 충북 오송지역에 설치될 예정이다.

식약처는 이를 통해 특구에 한정해서 화장품 업체가 화장품을 만들어 팔거나 표시·광고를 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규제를 풀어 자유로운 영업활동을 보장할 계획이다.

규제프리존에 들어서는 화장품 업체가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할 때 우선 심사권을 부여하고 공동으로 우수제조공정시설(CGMP)을 건립하면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중소 화장품업체가 화장품산업 규제프리존에서 제조해 유통하는 화장품에 한해서는 공동으로 디자인과 품질 관리를 하고 소비자 개인의 피부특성에 맞춰 표시광고를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규제프리존에서 화장품 업체 등 법인이 이용업과 미용업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해 뷰티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하기로 했다.

경북도와 경산시도 신 성장 동력으로 화장품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로 했다.

도와 경산시는 26일 경산시청에서 ‘K-뷰티 화장품 산업 육성 미래비전 선포식’을 열었다.

도는 우선 화장품 인프라 확충을 위해 2019년까지 20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글로벌 코스메틱 비즈니스센터’를 구축해 제품 기획, 시제품 생산, 수출 지원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 화장품 관련 기업 유치를 위해 경산 연구개발특구 안에 16만5000㎡ 규모의 ‘코스메틱 특화 산업단지’를 만든다. 이곳에는 중국, 일본 등 해외기업과 수도권에서 이주한 기업 등 40여개의 화장품 기업을 유치해 2025년까지 수출 10억달러, 고용 창출 3500명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한방과 천연소재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제품과 뷰티 융·복합기술을 개발하고 해외마케팅과 기업유치도 적극 추진한다.

화장품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대구한의대에는 ‘K뷰티 융·복합 캠퍼스’를 만들어 연간 1만명의 관련 업종 재직자 교육을 하고 400명의 해외 유학생을 유치할 계획이다.

도는 충북 오송과 차별화 전략을 추진한다. 오송이 LG와 아모레 등 대기업 중심의 내수 산업에 중점을 두는 반면 경산은 해외기업과 중소·창업기업 중심의 국내 최대 수출전진기지로 키운다는 구상이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