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총수 일가에 CGV광고 몰아줬나… 공정위 조사착수

입력 2016-01-24 21:48 수정 2016-01-25 00:10
공정거래위원회가 CJ그룹에 대한 부당한 ‘일감 몰아주기’ 의혹 조사에 착수했다. 일감 몰아주기 현장조사는 지난해 10월 한화에 이어 3개월 만이다. 연초 정치권을 달구고 있는 경제민주화 논란에 공정위가 적극 대응하면서 향후에도 전방위 조사에 착수할 것이라는 관측이 일고 있다. 24일 공정위 등에 따르면 공정위 시장감시국은 지난주 서울 상암동 CJ CGV 본사와 대치동 재산커뮤니케이션즈 본사에서 현장조사를 벌였다. 공정위는 두 회사 간 내부거래 내역 자료를 집중 조사했다. 이재현 CJ 회장의 동생 재환씨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재산커뮤니케이션즈는 2005년 설립 이후 CGV 극장에서 상영되는 광고를 대행하는 일이 주 사업으로 매년 100억원 안팎의 순익을 올리고 있다.

공정위는 또 지난주 한진그룹에 대한 2차 현장조사도 벌였다. 한진은 지난해 5월 공정위 일감 몰아주기 조사의 첫 타깃이었다. 이로써 공정위가 일감 몰아주기 조사에 착수한 대기업은 한진, 현대, 하이트진로, 한화, CJ 등 5개로 늘었다. 이들 계열사 대부분은 총수일가 지분이 100%이거나 100%에 육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공정위 안팎에서는 대기업 현장조사가 재개된 시점에 주목하고 있다. 경제민주화 성과를 놓고 청와대와 야당이 각을 세우고 있는 시기에 공정위가 CJ그룹의 내부거래 조사를 재개해 대기업 전반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 지난 14일 대통령 업무보고 직후 조사에 착수해 청와대의 정무적 판단이 있은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는 지난 2월 본격 시행됐다. 총수일가 지분이 30%(비상장사는 20%) 이상인 대기업 소속 180여개 계열사가 규제 대상이다. 삼성 현대차 LG SK 4대그룹 계열사 중 규제 대상은 1곳뿐이다. 총수일가 지분을 30%로 낮추는 방식 등으로 규제를 피해갔다.

세종=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