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러운 한파에 자동차 긴급출동 요청 건수가 치솟았다. 슈퍼엘니뇨현상으로 올여름에는 태풍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새해 벽두부터 기상이변이 속출하면서 보험사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전국 기온이 갑자기 뚝 떨어진 지난 19일 삼성화재에는 긴급출동을 요청하는 자동차보험 가입자들의 전화가 폭증했다. 이날 하루 접수된 긴급출동 건수만 4만9246건으로 1주일 전 같은 화요일의 1만5160건보다 3배가 훨씬 넘어, 1일 출동건수로는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성화재 측은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아 출동한 사례가 75%나 됐는데 대부분 추운 날씨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였다”고 전했다.
재보험사 코리안리는 지난해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지만 올해 목표치를 낮춰 잡았다. 코리안리 관계자는 “지난해에는 큰 자연재해가 없어 보험금 지급이 적었지만, 올해는 세계적으로 이상고온과 사상 최악의 한파가 번갈아 나타나고 있어 날씨로 인한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24일 말했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기후환경팀 박홍규 팀장은 “엘니뇨와 라니냐가 번갈아 나타나는 등 기온이 변하는 폭이 과거보다 2∼3배 더 커졌다”며 “엘니뇨의 영향이 크면 강수량이 많아져 자동차 사고가 늘어나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꽃 피는 시기가 빨라지면 꽃가루 알레르기로 인한 보험금 지출이 는다. 반대로 기온이 낮아지면 가뭄이 길어지면서 농작물 수확이 줄어드는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태풍이나 홍수 등이 닥치면 큰 피해가 예상되는 농작물이나 건물, 공장 등은 거의 무방비 상태다. 기후변화나 화재 등 재해 방지 활동을 벌이는 삼성화재 GLC센터의 김경희 책임은 “날씨 변화 폭이 커지면서 이미 과거의 날씨 데이터가 무의미해져 세계적으로 자연재해 예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기후가 들쑥날쑥해지면서 여러 가지 피해가 예상되지만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시설을 제외하고는 거의 대비가 안 돼 있다”고 지적했다. 김 책임은 “지하 상점, 반지하 가구 중 홍수에 안전하다고 할 수 있는 곳은 거의 없다”며 “지하도 입구에 물을 막는 차수판만 설치해도 어느 정도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귀띔했다.
농작물, 가축의 피해를 보상해주는 농업재해보험도 정부 지원금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농어촌의 가입률은 아직도 낮은 편이고 그나마도 들쭉날쭉하다. NH농협손해보험 관계자는 “농작물 피해가 크게 발생하면 이듬해 가입률이 높아지지만, 무사히 지나가고 나면 보험을 찾는 이들이 크게 줄어든다”고 말했다.
김지방 기자 fatty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기상재해 늘어날라” 보험사들 후들… “보험료 지급 급증” 우려
입력 2016-01-24 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