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수도권 10석 늘고 영·호남 2석씩 감소

입력 2016-01-24 22:10 수정 2016-01-24 22:26

여야가 4·13총선 지역구 수를 현재(246개)보다 7석 늘리기로 잠정 합의하면서 권역별로 선거구가 어떻게 조정될지 서서히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여야는 농어촌 지역구를 살리기 위해 지역구를 7석 안팎 늘리기로 했지만, 선거구 재획정의 최대 수혜자는 수도권이 될 전망이다.

24일 국회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인구 기준으로 영호남 균형을 전제로 지역구가 253개(인구 상한 27만1414명, 인구 하한 13만5708명)를 가정해 시뮬레이션해본 결과 경기 지역에서 가장 많은 8석이 늘어났다. 서울·인천에서도 1석씩 늘어나 전체 253석 중 112석(48.2%)이 수도권 차지가 될 전망이다.

서울에선 중구가 인구 하한선을 밑돌아 인근 성동구 일부와 합쳐질 것으로 보이지만, 인구 상한을 초과하는 강서갑(31만6162명)과 강남갑(30만1688명)은 분구 대상이다. 인천에선 연수구(31만5662명)의 분구가 유력하다.

경기도는 인구 상한선을 넘는 지역구가 무려 17곳에 달해 8개 지역구가 신설될 것으로 전망된다. 수원 남양주 김포 광주 군포 일산 용인 화성 등에서 한 곳씩 지역구가 늘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의 경우 충북은 별다른 변화가 없는 반면, 대전과 충남에서 각 1석씩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대전에서는 유성구(33만4200명) 인구가 상한선을 넘어 분구가 불가피하며 충남은 천안과 아산의 지역구가 한 곳씩 늘어나는 게 유력하다. 다만 충남에서는 부여·청양과 공주가 인구 미달로 선거구 통합이 불가피하다.

당초 246석 기준으로 영남권에서는 4석이, 호남에서는 5석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지역구가 7석 늘어나면서 각각 2석이 줄어드는 데 그칠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이들 지역에선 재획정을 놓고 향후 진통도 예상된다.

2석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경북에선 문경·예천, 영주, 영천, 상주, 군위·의성·청송이 인구 미달 지역으로 지역구를 합치는 게 불가피하다. 다만 경산·청도(30만751명)가 유일한 인구 초과 지역이다. 경남은 양산(29만9725명) 분구가 유력한 대신 도내 다른 지역구를 통합해야 하는 만큼 결과적으로 지역구 숫자가 달라지지 않는다.

부산은 중·동구(13만8822명)가 인구 하한을 간신히 넘기지만 인근 서구와 영도구가 미달이어서 3개 지역구가 2개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해운대·기장갑(30만2644명)은 인구 초과로 분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호남에서는 전남과 전북에서 각각 1석 줄어들며 광주는 의석수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전남에선 순천 곡성(30만9727명)이 인구 초과로 1개 지역구가 늘어나는 반면 2개 지역구가 통합될 전망이다. 전북에서는 정읍, 남원·순창과 진안·무주·장수·임실, 고창·부안이 인구 하한선을 밑돈다. 강원도에서는 홍천·횡성(11만6216명)과 철원·화천·양구·인제(13만3649명)가 인구 미달로 1석을 줄여야 해 강원도 전체 선거구 재획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