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가 22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12·28 한·일 위안부 합의’ 후속조치와 관련된 내용을 제외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올해 외교기조 전체가 북한의 4차 핵실험 대응방안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라는 게 외교부 측의 설명이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서울 세종로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내외신 브리핑에서 “오늘 보고에 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는 건 분명하다”면서 “초점이 북핵 대응 및 평화통일 방안에 대한 정책 로드맵이었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한·일 양국은 그동안 위안부 합의의 모멘텀을 살려 양국 관계 전반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 재단 설립 등 후속 조치와 관련해서도 한·일 간 조율 절차가 남은 상황이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 당국자는 “(위안부 문제는) 나중에 다른 형태로 보고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안부 문제와는 별도로 북한 핵실험 대응을 위한 한·일 공조는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우리 정부는 기존의 대일(對日) ‘투 트랙’ 기조 하에 선순환 관계를 추구하는 동시에 북핵 관련 공조에 주력할 방침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외교부 업무보고에서 ‘위안부는 빠졌다’
입력 2016-01-22 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