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우리 경제의 미래를 위한 법안 처리에 협력해 달라”며 야당 압박 수위를 한층 높이고 나섰다. 전날 기업활력제고특별법(일명 원샷법)을 더불어민주당이 수용키로 하는 등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자 여론전에 ‘올인’하는 모양새다. 4월 총선을 겨냥해 ‘발목 잡는 야당’이라는 프레임을 부각시키겠다는 전략이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2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최근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국제유가 폭락 등 대외 악재를 거론하면서 노동개혁 법안 및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의 처리를 촉구했다. 원 원내대표는 “총선을 목전에 두고 이제 민생법안을 처리할 시간이 부족하다”고 했다.
권성동 전략기획본부장도 “법안을 통과시켜주지 않는다면 야당은 이번 총선에서 일자리 방해 세력, 경제 죽이는 정당으로 국민의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했다.
새누리당은 ‘셀프 폐기’ 우회로까지 동원했던 국회법(일명 국회선진화법) 개정안 처리도 관철시킨다는 방침이다. 전날 정의화 국회의장이 내놓은 ‘선진화법 중재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압박 강도를 높였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정 의장 중재안에 대해 “과연 야당이 (중재안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며 “야당에 시간 끌기 명분을 절대로 주면 안 된다”고 했다. 정 의장의 국민의당 입당설에 대해서도 거듭 해명을 촉구했다.
새누리당이 선진화법 개정을 밀어붙이는 배경에는 총선 국면에서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려 있다. 야당이 선진화법을 ‘악용’해 ‘식물국회’를 만들었다는 논리를 펴겠다는 것이다. 이는 야당의 반대로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 처리가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부각시켜 정부·여당의 경제위기 책임론도 희석시키겠다는 포석이다. 당 관계자는 “선진화법 개정이 어려워지더라도 여권 지지층을 결속시키는 요인은 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친정’인 새누리당의 불만 표출에 정 의장은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정 의장은 “정의화가 잘 나서 국회의장이 된 게 아니고 새누리당의 은혜를 입어서 된 사람”이라며 신당 입당설을 일축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與 “野, 민생법안 협조 않으면 국민 심판”… 여론전 올인
입력 2016-01-22 19:09 수정 2016-01-22 2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