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안대희(사진) 전 대법관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한 것을 두고 당내에서 ‘불공정 게임’ 논란이 제기됐다. 경선에 나선 ‘선수’를 ‘중량급’이라는 이유로 ‘꽃가마’에 태운 것 아니냐는 것이다. 김 대표는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조경태 의원 입당을 공개 환영했고, 정치권을 싸잡아 비판한 뒤 불출마를 선언한 문대성 의원의 고향 출마도 설득했다. 이를 두고 ‘김무성 식(式) 인재등용’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김 대표는 ‘예외 없는 경선’이라는 상향식 공천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신년 기자회견에서 밝힌 ‘지역에서 출발한 생명력 있는 풀뿌리 후보’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대표는 21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 전 대법관의 지명직 최고위원 임명을 발표하면서 “국가관이 투철하고 법질서 확립에 큰 역할을 하신 분”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치개혁에 큰 역할을 하실 인물” “당(총선 승리)에 도움이 될 분” 등의 칭찬도 아끼지 않았다. 김 대표는 “안 전 대법관과 최고위원직 지명에 대해 사전에 논의하지 않았다”며 “최고위원도 만장일치로 찬성했다”고 덧붙였다.
안 전 대법관도 지역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과 당원의 뜻이면 하겠다”며 수락했다. 그는 또 “사전에 얘기를 들은 적은 없다. 오늘 처음 연락받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안 전 대법관과 같은 지역에서 출마를 선언한 강승규 전 의원은 “경기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엄중한 시기에 특정 후보를 지명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불공정 경선”이라고 반발했다. 새누리당 외연 확대라는 명분으로 출마 지역을 변경한 데 이어 핵심 당직인 최고위원까지 부여하면서 김 대표가 내세운 ‘공정한 룰’ 원칙을 스스로 위배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당내에서는 ‘험지 출마에 응한 안 전 대법관에 대한 당대표의 예우’라는 분석도 나왔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다”며 “민주적 절차에 의한 경선은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안 전 대법관은 “공정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제가 뭘 정하는 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 대표가 조 의원 입당을 공개 환영한 것에 대해서도 당내에서는 ‘갸우뚱’하는 시각이 많다. 김 대표는 야당 3선 의원이었던 조 의원의 새누리당 입당을 최고위원회의에서 직접 소개하며 “당의 큰 자산”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나 조 의원 지역구인 부산 사하을 출마를 선언한 석동현 전 부산지검장은 “12년간 야당에서 새누리당을 비판해 온 조 의원이 어떻게 원서 한 장 내는 것으로 자격심사 없이 입당할 수 있느냐”며 “당 최고위원회의가 신규 당원 입당 원서를 받는 곳이냐”고 항의했다. 사하을 당협위원회 관계자들도 “저급한 코미디 같은 정치공작”이라고 비판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도 지역 반발을 의식한 듯 “화합을 잘해야 될 건데 걱정이 좀 있다”며 “초특급 비밀 인사가 들어오는 것도 아닌데 (사전에 협의하지 못한) 아쉬운 점이 있다”고 했다.
김 대표가 지난해 12월 “(정치가) 거짓과 비겁함, 개인의 영달만이 난무한 곳이었다”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문대성 의원의 고향 출마를 설득한 것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김 대표는 “(문 의원이) 너무 아까운 인물이기 때문에 계속 출마해서 체육 발전에 이바지하라는 권유를 드렸다”며 문 의원의 인천 남동갑 출마를 언급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문 의원은 지난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국회와 정치권을 싸잡아 욕했던 인물”이라며 “김 대표가 말하는 상향식 공천과 인재 등용의 원칙이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준석 전 비상대책위원은 오는 24일 국민의당 안철수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노원병 출마를 선언할 예정이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안대희 최고위원 지명·조경태 입당 환영·문대성 고향 출마 설득… 새누리 ‘김무성式 인재등용’ 시끌
입력 2016-01-21 21:33 수정 2016-01-22 0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