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라산국립공원에 대한 입장료 징수 방안이 철회됐다.
제주도는 몰려드는 탐방객으로 한라산이 몸살을 앓게 돼 탐방객 수 제한 등을 위한 입장료 징수 방안을 추진했지만 백지화했다고 21일 밝혔다. 도는 한라산 입장료를 징수할 경우 연간 8억원 가량이지만 인건비 등 행정비용이 더 많은 실정이라고 밝혔다.
한라산 탐방객 수는 1980년 8만8000명에서 2000년 54만5000명으로 20년 만에 6.2배 늘었다. 한라산 탐방객은 입장료가 폐지된 2007년부터 급증하면서 2010년 114만1000명, 2011년 108만9000명, 2012년 113만4000명, 2013년 120만7000명, 2014년 116만6000명 등 100만명 시대를 지속하고 있다.
탐방객 급증으로 탐방로 입구 주차난과 환경훼손 문제 등이 불거지자 도는 한라산국립공원 입장료(관람료) 징수 조례 제·개정 등을 검토해 왔다.
하지만 관광업계 등에서는 전국 국립공원 가운데 입장료를 받는 공원이 없다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하며 지속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혀왔다.
도는 이에 따라 한라산을 보존·관리하기 위한 탐방객 총량제 도입 등을 포함해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한라산을 보존·관리하기 위해 자문단을 꾸려 미래지향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한라산 입장료 징수 방안 철회… 도, 총량제 도입 등으로 전환
입력 2016-01-21 1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