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테러 위협이 바로 우리 옆에 와 있다

입력 2016-01-20 17:47
국가정보원은 2010년부터 국내 체류 외국인 7명이 출국 후 수니파 무장단체인 이슬람국가(IS)에 가담했다고 밝혔다. 또 같은 기간에 IS 등 국제 테러 조직과 관련된 외국인 51명을 추방했다고 공개했다. 2010년 이후 테러 단체와 연관 의혹이 있는 외국인들의 추방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도 국제 테러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싱가포르의 정치폭력·테러연구국제센터 소장인 로한 구나라트나 싱가포르 난양대 교수는 태국 일간지 기고를 통해 “올해 안에 IS가 적어도 한 곳에 동남아 지부를 결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14일 IS가 처음으로 아시아 지역을 공격한 자카르타 테러는 동남아 지부 설치의 전조라는 것이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는 IS와 연계된 지역 무장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외신들은 일부 단체가 IS 최고지도자 아부 바크로 알 바그다디에게 충성을 맹세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테러 위협은 우리에게 실체적으로 다가오고 있다. 국내 거주 무슬림들이 테러 단체와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IS가 포섭하거나 또는 훈련시킨 극단주의자들을 입국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 IS의 테러 대상인 이른바 ‘62개국 십자군동맹 국가’에 들어 있다. 지난해 4월에는 리비아 트리폴리의 우리 공관에 IS 리비아 지부 조직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이 총격을 가해 현지 경비원 2명이 사망했다.

파리, 자카르타, 말리 테러에서 보듯 IS는 불특정 다수의 민간인, 즉 ‘소프트 타깃’을 노리는 전략을 쓰고 있다. 테러는 한 번 일어나면 수습이 어렵고, 엄청난 충격을 준다. 따라서 예방·차단 활동에 필수적인 테러 단체의 인적·물적 수단에 관한 정보 수집은 아주 필요하다. 최근 여야가 합의하는 듯하던 테러방지법 제정이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무책임한 일이다. 효율적인 테러 방지·차단을 위한 법 제정이 19대 국회에서 꼭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