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국민의당, 오락가락하지 말고 노선 분명히 하라

입력 2016-01-20 17:47
안철수 의원이 창당을 주도하는 (가칭)국민의당이 이념과 노선을 놓고 좌충우돌하고 있다. 한상진 창당준비위원장의 ‘이승만 국부’ 발언과 최원식 대변인의 ‘대통령 거리서명 지지’ 논평이 대표적이다. 두 사안 모두 당내에서 역풍을 맞아 사실상 정반대 입장으로 바뀌었다. 두 사람의 정무감각 부족에 따른 실수로 이해될 수도 있겠지만 신당의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사실을 만천하에 드러낸 셈이다.

한 위원장은 4·19 단체를 방문해 자신의 발언을 사과한 데 이어 20일엔 효창공원 김구 선생 묘소를 참배함으로써 직접 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고는 박근혜 대통령의 거리서명에 대해 “전대미문의, 참으로 기이한 모습”이라고 맹비난했다. 김한길 의원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전날 “직접 서명하시는 것을 보고 경제를 살리기 위한 대통령으로서의 책임감이 위중함을 느꼈다”고 논평했던 최 대변인은 “대통령이 길거리로 나간 것은 웃음거리”라고 말을 완전히 바꿔야 했다.

국민의당이 지지도 정체와 더불어민주당 탈당 진정으로 어려움에 처한 것을 이해 못하는 바 아니다. 국회 교섭단체 구성이 불투명하고 저명인사 영입이 순조롭지 않아 조급증을 느낄 수도 있겠다. 그럴수록 정도(正道)로 가야 한다. 안 의원이 수년간 주장해온 ‘새 정치’에 걸맞은 언행을 해야 성공할 수 있다. 눈앞의 이익을 취하고자 꼼수정치를 할 경우 그나마 회복된 ‘안철수 현상’은 영영 설 자리를 잃고 말 것이다. 기존 야당과 달리 보수중도층으로 세력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 확고하다면 그런 생각을 국민 앞에 당당하게 천명할 필요가 있다. 어정쩡하게 이쪽 저쪽 기웃거리는 모습은 구시대 정치의 전형이다.

국민의당이 이번 총선에서 양당체제를 허물고 제3당의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더민주와 정의당이 제의한 총선연대를 과감히 뿌리쳐야 한다. 연대는 두말할 필요도 없이 양당체제 고착을 의미한다. 의석 몇 개 더 얻겠다고 새 정치를 포기해선 안 된다. 안 의원이 한때 영입을 시도했던 김종인 더민주 선거대책위원장의 전력을 공개 비판하고, 국민의당이 ‘입법로비’ 혐의로 1심에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받은 신학용 의원을 영입한 것도 새 정치와 배치된다는 점을 명심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