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판교·상암에 ‘아시아판 실리콘밸리 조성 계획에 대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수도권 집중화 심화’ 우려를 나타내며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경기 판교와 서울 상암을 각각 창업과 융복합 문화콘텐츠 생산기지로 만들어 ‘아시아판 실리콘밸리’로 키워 가기로 했다고 18일 발표했다.
특히 대덕특구는 국가가 지원하고 있는 최대 R&D 연구개발특구 임에도 불구하고, 미래창조과학부가 업무보고를 하면서 언급조차 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덕특구 관계자는 19일 “대덕특구는 30여년 동안 수십조원을 이미 투자한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보고”라며 “대덕특구는 ‘한국판 실리콘밸리’, ‘창조경제의 기반’이라고 불릴 정도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데도 이를 배제하고, 수도권에 연구개발 역량을 다시 투자하는 선택과 집중 원칙에도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덕특구 내 정부출연연구원 연구원 김모(58)씨는 “지난 정부에서 연구개발특구를 전국 여러 곳에 분산 배치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는데도 또다시 수도권에 실리콘밸리를 조성하는 것은 이중 투자로 투자의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특화된 콘텐츠 허브를 구축한다 해도 기존 특구에서도 이미 수용하고 있는 산업일 가능성이 높아 추진 과정에서 걸림돌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수도권 과밀화를 막고,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도 수도권에 실리콘밸리를 만드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전=정재학 기자 jhjeong@kmib.co.kr
정부, 판교·상암 ‘아시아판 실리콘밸리’ 추진에 대덕연구특구 “수도권 집중화” 반발
입력 2016-01-19 2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