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민성기 한국신용정보원 초대 원장 “신용정보 보안투자 대폭 강화할 것”

입력 2016-01-19 20:31
민성기 한국신용정보원장이 19일 서울 중구 신용정보원 원장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정확한 신용평가가 금융산업 경쟁력을 키우는 지름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서영희 기자

민성기 한국신용정보원 초대 원장은 19일 “신용정보원의 보안이 뚫리는 것은 조직의 존립기반과 관련된 문제”라며 “외부에서의 해킹에서부터 내부 직원들의 보안의식에 이르기까지 보안투자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하는 것을 골자로 다음달 수도권(비수도권은 5월)부터 시행하는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과 관련해 “연말까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출에 필요한 대출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민 원장은 이날 서울 중구 신용정보원 사무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신용정보원은 비유하자면 신용정보와 관련해 조그만 가게에서 차려놓고 하던 것에서 ‘제대로 된 점포’를 낸 것”이라며 “여러 군데 흩어져 있던 정보를 한곳에 모아 효율적 투자가 가능해지고 보안시스템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신용정보 집중에 따른 ‘빅브러더’ 논란에 대해서는 “빅브러더가 되려면 개인의 소득과 재산, 자금흐름, 카드내역처럼 개인의 일상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 수준이 돼야 하지만 신용정보원은 업권 대출 위주 정보를 모으는 것이어서 빅브러더와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세분화된 대출정보 인프라로 가계부채 대응에 나서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DSR을 관리하려면 대출 만기가 언제인지, 상환방식은 원리금분할상환인지 일시상환인지, 금리는 고정금리인지 변동금리인지 이런 정보들을 새롭게 수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은행권은 정보기술(IT) 분야가 잘돼 있지만 제2금융권의 경우 IT 수준이 천차만별이어서 연말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용정보와 관련해 특정 업권의 시스템 구축이 시간이 늦어질 경우 단계별로 진행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DSR은 주택담보대출뿐 아니라 신용대출, 카드론 등 다른 부채까지 포함해 상환부담을 평가하는 지표다. 신용정보원이 상세한 대출정보를 파악하기 전까지는 시중은행들이 업권별·대출상품별 추정치(표준 DSR)를 적용해 이를 평가하고, 신용정보원의 인프라 구축작업이 완료되면 실제 대출정보에 기반한 실질 DSR이 산출된다. 민 원장은 올 하반기 출범 예정인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뱅크, 케이뱅크)과 관련해서도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출정보도 다른 금융회사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신용정보원은 5개 금융협회(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생명·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와 보험개발원에서 관리하던 각종 대출정보와 기술금융정보, 보험 관련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는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으로 지난 4일 공식 출범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