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장기결석 초등생 “아빠에 맞은 적 있다”

입력 2016-01-18 21:15
부천 초등생 사건 이후 정부가 담임교사의 장기결석자 실종신고를 의무화하기로 한 가운데 18일 서울 마포구 실종아동찾기협회를 찾은 방문자가 실종자 전단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아이의 행적에 대한 마지막 기록은 지난해 9월까지다. 부산 서구의 한 아파트에서 살았다는 게 끝이었다. G양(10)은 2014년 5월 부산 중구의 사립초등학교로 전학한 뒤 5개월 가까이 무단결석을 하다 퇴학했다. 함께 살던 어머니는 지난해 9월 거주하던 아파트에서 무단전출한 뒤 행방불명 상태다.

G양의 행적은 2년 전 이혼한 아버지가 지난해 12월 경찰에 실종신고를 하면서 뒤늦게 부각됐고, 장기결석자 전수조사가 시작되자 부산교육청이 G양을 찾아 나섰다. 아직 행방이나 거주지는 파악되지 않고 있다. 실종신고가 없었다면 그대로 묻혔을 것이다.

대전교육청도 경찰에 장기결석 초등생 1명을 찾아 달라고 의뢰했다. 대전에서 총 17명이 장기결석 중이고 3개월 이상 결석해 ‘정원 외 관리’를 받는 아이는 12명인데 이 중 1명이 행방불명 상태인 것이다.

대전교육청은 “학생의 아버지가 빚 문제로 고민하다 아이를 데리고 잠적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민등록이 말소됐고 그나마 연락되던 큰아버지와도 연락이 끊겨 경찰에 의뢰했다”고 말했다.

학교와 사회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돼 흔적조차 사라진 ‘유령 초등학생’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경찰은 행정서류에만 존재할 뿐인 아이들의 소재를 추적하고 나섰다. 또 소재는 파악됐지만 ‘교육방임’ 상태로 의심되는 아이들에 대한 학대 여부를 수사키로 했다.

경찰은 아동학대가 의심되는 장기결석 초등생 8명을 주목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교육부가 소재불명으로 신고한 13명과 경찰이 자체 인지한 13명 등 모두 26명 중 17명은 학대가 없는 것으로 확인돼 사건을 종결했다.

나머지 9명 가운데 1명은 부천 초등학생 A군이다. 경찰은 A군을 뺀 8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가 있는지 등을 살피고 있다. 이 중 부산의 초등학생 1명은 “아버지로부터 맞은 적이 있다”고 진술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나머지 7명도 ‘교육방임’이 있었는지 수사 중이다. 학교에 장기간 보내지 않은 사유가 불분명해서다. 아이를 학교에 보내지 않는 행위 등의 교육방임은 아동복지법에 규정된 학대의 한 유형이다. 또 안전 문제는 없지만 적절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어 교육부가 학교 출석을 독려한 75명에 대해서도 별도로 수사할 방침이다.

김찬희 강창욱 기자 chki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