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CT·MRI 영상정보 다른 병원에서도 활용 가능… 의료기관 진료정보 공유 확대

입력 2016-01-18 22:01
경제혁신 정부 합동 업무보고가 18일 경기도 성남 판교테크노밸리에서 열려 박근혜 대통령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이날 보고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통한 성장동력 창출을 주제로 미래창조과학부 등 6개 부처 합동으로 진행됐다. 성남=청와대사진기자단

한 번 찍은 컴퓨터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다른 병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진료정보 공유가 확대된다. 원격진료 시범사업도 노인요양시설 거주자와 만성질환자 등으로 확산된다. 바이오헬스산업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돼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늘어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청와대에서 가진 올해 업무보고에서 진료기록과 CT, MRI 등 영상정보를 전산을 통해 의료기관 간에 공유하는 진료정보 교류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환자들은 동네 병원에서 찍은 진료영상을 상급종합병원 등 다른 병원에서 다시 찍지 않아도 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지금은 환자가 직접 영상물 CD를 들고 다니면서 전달해야 한다.

진료정보 공유 시범사업은 현재 경기도 분당 서울대병원과 대구 경북대병원 등 일부에서 실시되고 있다. 분당 서울대병원에서는 진료비 13%를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올해 서울 세브란스병원에서 추가 시범사업을 한 뒤 지역 간 진료정보 교류가 가능하도록 표준 시스템을 6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에는 서울, 경기, 대구 등 지역 간 연계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본격적 정보 교류를 하려면 의료법 개정이 필요하다”면서 “올해는 교류사업의 전국 확산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격진료도 확대된다.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도서·벽지 지역이 지난해 11곳에서 20곳으로 늘어난다. 대도시 거점병원과 응급 원격진료 시스템을 갖춘 농어촌 취약지 응급실도 30곳에서 70곳으로 증가한다. 고혈압 등 만성질환자에 대한 원격진료는 1차 의료기관인 동네병원을 중심으로 시도된다.

또한 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을 육성해 올해 일자리 76만개, 부가가치 65조원을 창출한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지난해보다 일자리는 5만개, 부가가치는 5조원 늘어난 규모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2년 기준 세계 13위인 바이오헬스산업 규모를 내년에 세계 7위까지 올려 놓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외국인 환자를 지난해 28만명보다 42.9% 늘어난 40만명 유치할 계획이다.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찾은 외국인에게 오는 4월부터 1년간 부가가치세 10%를 환급한다. 외국인 환자 종합지원 창구도 다음 달 개설한다.

우리 병원의 해외 진출은 지역별 맞춤형으로 추진한다. 중동에는 병원 설립과 현지 의료진의 국내 연수 제공을 묶은 ‘패키지 수출’을 구상 중이다. 중국에선 산둥성 장쑤성 저장성 등 동부 연안 지역으로 진출을 확대하고, 병원의 전문·대형화를 꾀할 방침이다.

최근 신약 개발로 8조원대 기술 수출을 한 한미약품과 같은 회사가 추가로 나오게 한다는 것도 올해 목표다. 복지부는 국내에서 임상시험을 하고 세계 최초로 허가받은 신약에 대해 약가를 최고 수준으로 우대하겠다고 약속했다. 글로벌 헬스케어 펀드 1500억원도 제약기업에 투자키로 했다. 새로운 의약품이 시장에 신속히 진입할 수 있도록 심사 기간도 줄인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