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은 전두환 국보위에 참여” 한상진의 반격… 역사논쟁 점입가경

입력 2016-01-18 21:53 수정 2016-01-19 00:19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가 18일 국회 당대표실에서 영입한 김민영 전 참여연대 사무처장(오른쪽), 오성규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이사장과 함께 당원증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동희 기자
국민의당 창당을 준비 중인 안철수 의원(오른쪽)이 18일 서울 마포구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송기석 전 광주지법 부장판사 영입 기자회견이 끝난 뒤 송 전 부장판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상진 국민의당 공동창당추진위원장이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에게 “전두환정권 때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에 참여한 분”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 위원장의 ‘이승만 국부(國父)’ 발언을 김 위원장이 “(이 전 대통령은) 3·15부정선거 하다가 4·19혁명으로 망명해 여생을 외국에서 마친 불행한 대통령”이라며 비난하자 역공을 가한 셈이다. 김 위원장의 ‘전두환정권’ 전력을 부각시켜 호남 민심을 다지기 위한 포석으로도 풀이된다. 더민주는 한 위원장에게 4·19 유족들 앞에서 무릎 꿇고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한 위원장은 18일 서울 마포구 국민의당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확대기획조정회의에서 “김 위원장이 ‘이승만 국부론’을 비판했으니 전두환정권의 국보위에 참여한 분으로서 다른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요청한다”고 했다. 그는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위상 정립이 국가 정체성 확립의 중요한 과제”라며 “(이 전 대통령을 비판한) 김 위원장이 과거 통념으로부터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한 입장을 어제 공개했다”고도 했다.

한 위원장은 박정희 전 대통령도 재평가해야 한다며 급작스레 준비되지 않은 말을 꺼내기도 했다. 임내현 의원이 “호남에서 박 전 대통령 공을 거의 인정 안 하는 게 주류”라고 하자 “박 전 대통령 부분도 민감한 부분입니다마는 저희들은 지금 준비된 것이 있다”고 ‘깜짝’ 발언을 한 것이다. 그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입장을) 오늘 발표하기엔 시기상조”라며 “기회가 되면 예민한 분열의 시대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저희가 말할 수 있다”고 했다.

국민의당 내부에서는 한 위원장의 발언으로 ‘역사 논란’이 확대되자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최원식 대변인은 “국부 논쟁은 저희가 이 문제를 전면화하겠다는 게 아니다”며 “(박 전 대통령 재평가 발언은) 준비된 메시지도 아니고 당내에서 미리 논의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비공개 회의에서는 한 위원장의 발언이 ‘너무 나갔다’는 평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민주는 한 위원장을 몰아세웠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떠올리면 부정선거와 하와이 망명이 생각난다”며 “진보학자를 자임했던 한 위원장이 이제 너무나 진부한 뉴라이트 학자가 됐다”고 꼬집었다. 정 최고위원은 국민의당을 향해 4·19 유족 앞 사과와 건국일에 대한 공식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정의당 정진후 원내대표도 상무위원회의에서 “3·15부정선거를 일으키고 민주주의를 파괴한 사람이 누구냐. 이 전 대통령 국부 발언은 우리 헌법 전문을 부정하는 것이며 4·19의 숭고한 이념을 퇴색시키는 것”이라고 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김종인 위원장을 향해 “명분 없는 이동으로 정치낭인이 됐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보수 진영의 소중한 자산이었던 분이 이념과 정체성이 다른 정당으로 명분 없이 이동한 것은 참으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