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브랜드택시인 고래콜이 폐업을 단행하자 출범 당시 지원됐던 시 보조금행방을 놓고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18일 울산시에 따르면 2009년 시민들과 협력해 새로운 택시문화를 만들어 보자는 취로 만든 ‘고래콜’이 카카오택시 애플리케이션 등장 이후 직격탄을 맞고 지난해 말 폐업했다.
고래콜은 시 보조비 8억원과 자부담금 3억2000만원 등 초기 사업비는 11억2000만원으로 시작했다. 사업비는 고래콜에 소속된 법인 34개사에서 운행하는 800대의 콜택시에 내비게이션과 GPS, 카드 단말기 등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예산이다. 그러나 사업과정에서 택시조합 간부 2명이 자부담금을 낸 것처럼 허위로 꾸민 뒤 보조금을 빼돌려 사적으로 사용했다.
시는 2013년 7월 법인택시조합을 상대로 ‘보조금 반환소송’을 제기해 이듬해인 2014년 9월 승소했지만 현재까지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다. 횡령을 한 당사자들은 재산이 없거나 종적을 감춘데다, 이와 무관한 현재 법인사업자들에게 공동책임을 강요하며 조합비를 갹출하는 것도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이다. 시는 최근 조합 측에 고래콜 관련 횡령금 반납계획을 다음달까지 제출하라고 통보했다.
시 버스택시과 관계자는 “보조금은 조합에 지원한 것이어서 조합이 책임을 져야한다”며 “이번에도 소송 결과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법인택시조합 전체의 보조금을 축소하거나 중단하고 여기서 발생한 차액으로 횡령액을 보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법인택시조합측 관계자는 “당초 소속됐던 34개사의 법인택시 사업자들도 상당수 교체된 상태여서 어려움이 크지만 오는 2월쯤 총회를 열어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 ‘고래콜’ 좌초… 市 보조금 회수도 암초
입력 2016-01-18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