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통령·與·野 모두 정상이 아니다”

입력 2016-01-17 21:09
국민의당 창당을 준비 중인 안철수 의원(왼쪽)이 17일 서울 마포구 창당준비위원회 사무실에서 열린 기획조정회의에 참석해 김한길 의원(오른쪽)과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한상진 공동창당준비위원장. 연합뉴스

국민의당 창당을 추진하고 있는 안철수 의원이 ‘선거구 실종’ 사태를 “기득권 양당의 담합”이라며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을 동시에 비판했다. 한상진 공동창당준비위원장은 ‘이승만 국부’ 발언에 대해 “열린 쟁점”이라면서도 “국부에 준하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며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안 의원은 17일 서울 마포 국민의당 당사에서 열린 기획조정회의에서 “선거구를 획정 못한 작금의 상황이야말로 헌정사 초유의 일”이라며 “기득권 양당의 담합으로 기득권을 지키려는 것을 깨야 한다”고 했다.

그는 “여야가 국민적 비판을 모면하기 위해 선거구가 없는 상황에서 선거관리위원회에 예비후보 등록을 받으라고 강요했다”며 “선관위에 불법을 강요하는 일도 헌정사상 유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또 “상황을 이 지경으로 만들어놓고 대통령은 국회 탓을 하고 협상 당사자인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를 외국에 보냈다”며 “한마디로 대통령, 여당, 야당 모두 정상이 아니다”고 공격했다. 청와대와 기존 정당을 모두 ‘기득권’으로 몰아붙여 신당의 필요성을 강조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 14일 국립4·19민주묘지 참배 당시 이 전 대통령을 ‘국부’라고 평가한 발언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이 이 땅에 뿌린 민주주의의 씨앗이 성장해서 부정선거 권력욕에 사로잡힌 자유당 정권과 이 전 대통령을 무너뜨린 것”이라며 “선거와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발전시킨 업적을 정당하게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러한 주장이 모순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 위원장은 이 전 대통령이 “국부란 호칭을 사용할 때 국민이 갖는 높은 도덕적 기준을 만족시키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면서도 “국부에 준하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고 했다. 그는 “이 전 대통령의 위상을 어떻게 정립하는가는 열린 마음으로 토론할 필요가 있다”며 “4·19 유가족 관계자 여러분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고 폐를 끼쳐드린 데 대해 진정으로 제발 사회통합 관점에서 저의 진의를 너그럽게 이해해주시실 간청한다”고 했다. 유가족에게 별도로 사과의 말을 전하지는 않았다.

한편 국민의당은 기조회의가 끝난 뒤 조직 인선을 발표했다. 최원식 의원이 대변인에 임명됐으며, 민생경제위원장에 장병완 의원, 법률위원장에 임내현 의원, 대외협력위원장에 김승남 의원, 디지털정당위원장에 김관영 의원, 창준위원장 정책특별보좌역에 권은희 의원이 임명됐다. 현역 의원이 아닌 인사로는 통일위원장 김근식 경남대 교수, 정책자문위원장 표학길 서울대 교수, 홍보고문 권오휴 에이씨닐슨코리아 대표가 있다.

고승혁 기자 marquez@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