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란 제재 해제 이후의 비즈니스찬스 놓치지 말라

입력 2016-01-17 17:34
미국과 유럽연합(EU), 유엔이 주도한 국제사회의 이란 경제·금융 제재가 17일부터 풀렸다. 2010년부터 제재에 본격 동참했던 우리에게 오랜만에 큰 시장이 하나 생긴 셈이다. 그동안 제한적이었던 교역이 자유로워졌고 투자금 송금 등 자본거래도 가능하게 됐다. 무엇보다 건설업체들의 활발한 재진출이 기대된다. 이란은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1위, 원유 매장량 세계 4위이지만 오랜 경제 제재로 도로·항만·철도·댐 같은 토목·건축 분야와 인프라 시설, 원유 시설 등이 매우 낙후돼 있다. 우리는 제재 이전에 이란에서 상당한 경험을 쌓아왔기 때문에, 기회를 살리는 것은 전략적으로 잘하느냐 여부에 달려있다.

정부와 민간 업체들은 제재 해제가 우리 경제를 되살리는 데 최대한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란 시장 재개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이 혼재한다. 우선 이란 내 인프라 건설 수요를 잘 활용해야 한다. 이란이 2020년까지 214조원 규모의 건설 관련 프로젝트를 발주할 것이라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수주 경험이 있는 데다 제재 기간에도 관계를 유지해온 민간 업체들이 수주 극대화를 위해 전략적 협력을 해야 한다. 정부 당국이 나서서 효율적으로 기업 간 중재를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코트라의 이란 바이어 521개사 설문조사에서 응답 바이어의 44%가 한국기업과의 거래를 최대 20%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한다. 정부가 교역량 확대에 따른 민간 업체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관련 규정·규제 등의 정비를 조속히 마쳐야 한다. 또 이익 극대화의 결과가 일자리 창출과 경기 회복에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정부는 정교하게 중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란의 원유 공급 확대에 따른 추가 유가 하락은 세계 및 한국 경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하루 700만 배럴 생산으로 공급 과잉인데 지금보다 100만 배럴이 더 생산될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 저유가는 기업의 생산단가 하락 효과를 낳을 것이나, 한편으론 산유국들의 구매력 약화에 따른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되 매출감소 우려는 비즈니스 찬스 확대로 대응하는 등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정부와 관련 업계의 치밀한 대책과 협조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