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룰 확정됐지만… 與, 인재수혈 등 논란 더 시끌

입력 2016-01-15 21:04
새누리당이 상향식 공천과 신인 가점 부여를 주 내용으로 총선 공천룰을 확정했지만 인재영입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지도부가 원칙론에 묶여 당의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때문이다. 인재 수혈은 말랐고, 당내 교통정리도 제대로 되지 않아 혼란이 가중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무성 대표는 15일 주요당직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은 오직 국민에게 당의 정강정책만 가지고 호소할 생각”이라며 “인물 가지고 쇼를 벌이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이 김종인 전 의원을 선대위원장으로 모신 만큼 이에 맞설 걸출한 인재를 영입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다.

그러나 당내 분위기는 다르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당의 변화와 개혁을 상징할 인재 수혈이 막히면서 선거 흥행이 안 되고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김 대표가 지난 10일 소개한 젊은 전문가그룹 6인의 ‘입당’에 대해서도 “국민에게 신선하다고 각인될 만한 이미지는 아니다”는 평가가 많다.

영입인재의 ‘대우’ 문제도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했다. 황인자 의원은 자신이 출마한 서울 마포을 지역에 김 대표가 소개한 최진녕 변호사가 출마선언을 한 것에 대해 “종편 출연자들을 새로운 인물이라며 영입했고, 영입인사들은 험지출마라며 전략공천 받은 듯 지역구를 선정하고 있다. 유사 전략공천”이라고 비판했다.

안대희 전 대법관,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서울 험지출마를 요구받자 해당 지역으로 거론된 당협위원장들도 “1년 넘게 지역구를 갈고닦아 왔는데 야당 거물이 있다는 이유로 험지라 할 수 없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오 전 시장은 오후 페이스북에 종로주민들을 언급하며 “이분들을 위해 일하고 싶다”고 밝혀 사실상 종로 출마 고수 입장을 밝혔다.

새누리당이 최고위 의결을 거쳐 일부 신인에 대해 100% 국민여론조사 경선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갈등의 뇌관이 될 수 있다. 험지출마자들의 경우 100% 여론조사 방식을, 해당 지역 당협위원장은 일반 경선방식 적용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당 중앙청년위원회는 청년 가점 부여 기준을 ‘만 40세 이하’로 정한 것을 두고 “참신한 인물의 정치 입문을 가로막고 현역 의원의 기득권 지키기로 비칠 소지가 있다”며 “당헌·당규에 언급된 만 45세 이하로 해야 한다”는 결의문을 중앙당에 제출하기도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가·감점 제도가 적용된 경선은 불복이 금지되는 경선으로 볼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경선 탈락자들의 탈당 우려도 나온다. 이에 새누리당 관계자는 “여야 모두 가·감산 제도를 적용하는 만큼 선거법 개정 때 이를 포함시키면 된다”며 “여야가 합의한 사항”이라고 일축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